교회는 현장 예배가 중단되어 온라인 예배의 현실화를 경험했다. 성도들이 한명도 없는 예배 환경의 변화가 주는 공허함이 있었고, 모이는 예배의 소중함을 체험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교회는 이제 현장예배를 드리게 되었다. 코로나19 이후 ‘교회는 어디로 어떻게 가야할까’라는 고민을 하지 않은 목회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앞으로의 나아갈 길과 비전을 설정할 때 리더십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독교리더십의 방향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뉴 노멀(New Normal)시대가 도래했다. 교회는 복음의 불변적 가치는 고수하되, 복음이 전해질 문화와 시대에 맞게 변화해야 할 것은 변화해야 한다. 그 변화의 책임은 대부분 교회 리더들에게 있다. 이러한 때에 기독교 리더십이 지향해야 할 푯대를 정하는 작업은 중요한 일이다. 기독교 리더십의 방향성에 대해서 교회 변화의 첫 걸음은 리더와 구성원들의 신념과 태도를 바꿈으로 나타난다는 전제하에 리더의 개인내면 차원에서는 정체성을 하나님께 초점 맞춘 기독교 리더십이 되어야 하고, 일대일 관계차원에서는 팔로워들과 특히 젊은이들과 소통하고 위임하는 기독교 리더십이 되어야 하며, 공동체차원에서는 서로가 연결될 수 있도록 디지털 참여경로를 찾음으로 교회가 지역사회의 희망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기독교 리더십이 되어야 할 것이다.
For the church, on-site worship was suspended. There was an emptiness in the changing worship environment, where no church members were present, and it was also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gathering. The church has since transitioned to online worship.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where the direction of Christian leadership post- COVID19 era should be headed.
The New Normal era has arrived. The church should stick to the immutable value of the gospel, but accommodate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time it lives in. Most of this responsibility lies upon the shoulder of church leaders.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set up a new model for Christian leadership. On behalf of Christian leadership, the first step in transformation is to focus on one’s identity on God at the intra-individual level. Second, Christian leadership must communicate and delegate with followers at the dyadic level. Third, leadership must help the church become a beacon of hope by finding a platform for virtual communication in order to cultivate a healthy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