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8.32.171
3.138.32.171
close menu
}
KCI 등재
밀라노 디자인 지구 내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Located in Milan Design District
천준호 ( Chen¸ Jun Ho )
UCI I410-ECN-0102-2021-600-00115412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유휴 산업시설을 전시 박람회, 비엔날레, 트리엔날레와 같은 다양한 도시 이벤트 연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는 개최 도시만의 특수한 장소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공간을 만들어 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지역 재생의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년 30만 명 이상의 방문자를 기록하고 있는 밀라노 국제 가구박람회를 중심으로 형성된 밀라노 디자인 지구(Design District) 내에 위치한 유휴 산업시설의 대표적 재활용계획 사례들을 분석하여, 도시 이벤트 및 지역 재생의 거점시설로서 국내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과 지역 재생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유휴 산업시설의 재생을 위한 재활용 계획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밀라노의 도시구조를 연구하고, 밀라노 디자인 지구 내 산업시설 재활용 사례의 분포를 분석한다. 셋째, 대표적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사례가 밀집된 람브라테 지구(Lambrate Design District)와 토르토나 지구(Zona Tortona)를 현장조사와 밀라노 건축사협회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넷째, 유휴 산업시설을 도시 이벤트와 연계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활용된 사례의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재생 계획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대상 사례의 분석결과 대상지의 유휴 산업시설 관련 도시 재생에는 ‘산업유산을 직접 재활용함으로써 재생 효과가 발생하는 패턴’, ‘산업유산과 주변 지역을 함께 연계·재활용함으로써 포괄적인 재생 효과를 발생하는 패턴’, ‘네트워킹을 통한 복합적 재생 효과를 거두는 패턴’(Kang, 2019)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유휴 산업시설은 보존적 개념의 리모델링을 통해 밀라노 특유의 ‘유니크 베뉴’(Unique Venues)로 재생되었다. Tortona 지구와 Lambrate 지구에 위치한 총 6개의 사례 중 모든 사례에서 ‘외부공간’과 ‘실내 디자인’이 강한 강도로 변형이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축형태’와 ‘입면 디자인’은 대부분 사례에서 가치 있는 중요 요소로 인식되어, 오랜 기간 지역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건축물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이어가고자 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또한, 산업시설의 생산적 공간을 위해 설계된 ‘구조’의 경우 새로운 용도로의 전환이 원활하여 신축 사례를 제외한 모든 사례에서 강한 강도로 보존되었다. (결론) 밀라노 공업지역의 도시 재생은 건축적 가치와 경관적 특수성을 갖는 유휴 산업시설이 유명 예술가들의 주도하에 적극적으로 리모델링 되어 예술가들의 ‘상징적 공간’으로의 재활용에서부터 시작되었고, 후에 PRU(Program of Urban Requalification), PII(Integrated Programs of Intervention)와 같은 도시계획을 바탕으로 체계화되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성공 사례들이 모여 지역을 대표하는 도시 이벤트가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밀라노의 사례는, 지역 제조업의 성장률 정체로 신성장동력 사업을 MICE 산업과 같은 관광 기반 사업과 지역 특화된 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국내 지방 도시의 도시 재생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it has been increased numerously the number of cases of conver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multi-cultural spaces which is related to various city events such as fairs, Biennale and Triennale. This creates the differentiated spaces that could provide the formation of distinguished places of the hosting city and furthermore it is well used as a focal point of urban regenera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presentative cases of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situated in the MDD (Milan Design District) and to provide the preservative design strategy for Korean context. (Method) First,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i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reus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Secondly, to draw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MDD, it observes the Milan city structure and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MDD. For the third, it is to analyze ‘Zona Tortona’ and ‘Lambrate Design District’ where centered the representative cases of reused industrial facilities, on the base of the database abstracted from the Milan Architects Association and of the field research. Lastly, it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of case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converted to multi-cultural spaces which are related to urban events, and to draw its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of the area. (Results) For the result of above, it has been processing gradually 3 kinds of the ‘patterns’ for the targeting areas, such as 'the patterns of regeneration effects occurred directly by adaptive reuse', 'the patterns of comprehensive regeneration effects occurred by relations between the industrial heritages with adjacent areas' and 'the patterns of achieving multiple regeneration effects through networking'(Kang, 2010). Furthermore,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transformed to the ‘unique venues’ of the city through preservative remodeling. In the 6 analyzed cases located in ‘Zona Tortona’ and ‘Lambrate Design District’, the ‘exterior spaces’ and ‘internal spaces’ are transformed with a strong intensity, while in most cases, ‘architectural shape’ and ‘elevations’ were recognized as a valuable elements and show a clear tendency of preservation. The ‘structures’ designed for the previous productive functions were preserved in all cases except for the new constructions. (Conclusions) The urban regeneration of industrial areas in Milan began with an radical renov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by the private initiatives and strongly related to a particular urban events and afterwards it was organized on the based of urban planning such as PRU(Program of Urban Requalification) and PII(Integrated Programs of Intervention). This case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finition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y for local cities in Korea which focus on tourism based development and on making unique venues from industrial heritage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밀라노 도시 재생과 유휴 산업시설 현황
4. 사례연구
5 사례분석의 종합 및 시사점
6. 결론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