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Research of Student’s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Online Video Lecture
정희연 ( Heeyeon Jung ) , 윤지원 ( Jiwon Yoon )
인문사회 21 vol. 11 iss. 3 1305-1318(14pages)
DOI 10.22143/HSS21.11.3.93
UCI I410-ECN-0102-2021-000-001158607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온라인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통해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 소재 P대학교 한국어교육원의 온라인 동영상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총 12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보면 온라인 동영상 수업으로 문법과 듣기 수업을 선호하고 있었다. 읽기와 말하기 수업에 대한 선호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식 응답을 통해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긍정적 의견과 부정적 의견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학생들의 의견은 7주, 8주간의 원격수업을 직접 경험한 후에 작성한 것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진행되는 원격수업과 온라인 콘텐츠 개발 및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roblem of online video lectures which had carried out amid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to propose the solution through the student’s perception by the student survey. It presents the online video lecture case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of P University in Daejeon, the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 and the satisfaction of online video lectures. 125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by the result of the survey, it showed that the preferred subject was the grammar and listening, whereas reading and speaking lecture was not preferred. It had identified the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 on online video lecture through the written response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s result will be contributed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content and the online video lecture in Korean Education because student opinion came after they had experienced online video lectures for 7 to 8 weeks.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및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