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암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정세도” 수준과 관련하여
A Study of Cancer Patients’ Communicative Pattern and Its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Level of “Communicative Definition”
김효숙 ( Hyosook Kim )
인문사회 21 vol. 11 iss. 3 235-246(12pages)
DOI 10.22143/HSS21.11.3.18
UCI I410-ECN-0102-2021-000-001167855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정세도”의 개념을 통해 암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암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정세도 수준과 그것의 암 치료에 미치는 함의에 초점을 맞춰 그들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회과학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Q 방법론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세 유형으로 확인됐는데, 제1유형은 이항대립에 기초한 높은 정세도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2유형은 과잉언어를 드물게 사용하나 제1유형과는 달리 이항 대립적 커뮤니케이션을 하지 않아 비교적 낮은 커뮤니케이션 정세도를 보였고 마지막으로 제3유형은 과잉 언어나 이항 대립적 관계에 입각한 커뮤니케이션을 거의 하지 않아 세 유형 중에서 가장 낮은 정세도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낮은 정세도를 보인 제3유형에서 가장 많은 완치자가 포함된 반면 가장 높은 정세도를 보인 제1유형에서는 완치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정세도의 커뮤니케이션이 암 치료의 예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암 환자가 아닌 참여자를 대조군으로 추가하고 표본 수를 늘림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정세도와 암 치료의 관계를 더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ways of cancer patients’ communication through the notion of “communicative definition.” Q methodology, widely used in social science studies, was utilized for this research in order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patients’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their communicative patterns with a focus on the level of their communicative definition and possibly its implications of the cancer treatment. The findings of my study identified three types of Q participants: the type 1 of very high communicative definition grounded on the binary opposition, the type 2 of a relatively moderate communicative definition by using excessive words randomly and without binary oppositional communication, and finally the type 3 of very low communicative definition without binary opposition nor excessive words.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rathe high level of communicative definition was likely to affect the effect of the cancer treatment negatively. For more rigorous and systematic research in the future, the size of sample (Q participants) should be expanded with additional participants without cancer. In so doing, it would offer far stronger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ve definition and the cancer treatment.

I.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Notion of “Communicative Definition”
Ⅲ.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
Ⅳ. Research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