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정책문제, 어떻게 ‘사실’로 구성되고 인지되는가?
Policy Problem, How is it Constructed and Believed as a Fact?
사공영호 ( Yungho Sakong )
DOI 10.33900/KAPS.2020.29.2.6
UCI I410-ECN-0102-2021-300-001167576

정책문제는 ‘구성’의 산물이다. 인간 의식의 ‘창조물’이다. 그런데 자연 대상에 못지않은 구체적인 ‘사실’인 것처럼 경험한다. 이에 대해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설명을 제시한다. 첫째, 우리의 신경시스템은 본래부터 추론과 구성의 결과를 진실인 것처럼 ‘생생히’ 경험하도록 작동하는 장치라는 점이다. 더듬듯이 주어지는 부분적이고 파편적인 정보로 부터 전체의 양상을 추론하여 그것이 진실하고 일관된 세계의 모습인 것처럼 생생하게 경험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실’이라 인식은 실재성과는 상관없이 외부세계를 다루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할 때 발생한다. 둘째, 세계를 다루는 언어와 신경시스템이 ‘사실성’을 오해하도록 작동한다. 자연현상과는 달리 사회현상은 과정적이고 복잡하다. 개별 단위에 기초한 사실화가 곤란하다. 하지만 언어시스템을 매개로 자연세계의 존재론에 의지하면서 인지적으로는 사회세계도 자연세계처럼 다룰 수밖에 없게 된다. 복잡하고 과정적인 사회현상을 명사화하면서 사회현상 역시 마치 단위화가 가능한 현상처럼 오해하게 된다. 비동기적 사고단서라는 언어 자극의 특성은 신경시스템에 축적된 모든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도록 하고, 자연세계의 은유에 비추어 사회현상도 이해하게 한다. 추상화된 언어가 말단의 지각까지 통제하면서 편견적인 해석체계를 고착화한다. 언어를 이용하여 세계를 해석하고 다루는 능력에 의지하여 ‘사실’이라는 인식은 발생한다. 정책문제는 파편적 정보로부터 기꺼이 추론기능을 수행하는 신경시스템과 탈맥락적인 방법으로 현상을 잘라내어 명사화한 언어구조가 함께 만들어낸 창조물이다. 사실성을 보장할 수 없는 하나의 인지적 환상이다. 생존을 위해 사실성을 믿어야 하는 신경시스템과 언어시스템에서 기원하는 인지적 착각이다. 경험주의의 기대와는 달리 인간의 경험은 세계의 진실을 접하는 창이 되지 못한다.

Policy problem is an output of cognitive construction. It is a creature of human consciousness. We experience this created thing as something real fact in the world. This study offers two explanations. First, human cognitive neural system operates for us to mistake the outcome of inference and interpretation as a ‘vivid’ and ‘fact-like’ thing regardless of its actual reality. Human neural system plays the mysterious role to produce something real-like experience from randomly provided frag-like sense data. ‘Fact-like’ vivid experience emerges when human acquires the capability to deals with the target world well. Second, human language and neural language system works to mistake the factuality of the social world. Social phenomenon is complex and procedural. It is impossible to cut as a unit ‘fact’ without damaging real complexity. Language, however, makes it possible to cut the unit of thought regardless to inseparable reality. Through language, the ontology of dividable natural world invade to the perspective and assumption of social world. By nominalizing complex procedural phenomenon, social world is analysed as something which can divided by the words. Language is an unmotivated clue of thought. It does not directly provide any hint of referent worl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lds, cognitive system needs to rely on accumulated knowledge of neural system which learned from natural world. Language transforms inseparable social world into dividable and observable unit like facts. According to this study, policy problem is a creature of human neural system and human language system. It is an illusion of human cognitive system. No matter how vividly perceived like a natural thing, it is an cognitive hallucination.

Ⅰ. 서론
Ⅱ. 사실의 의미와 접근시각의 모색
Ⅲ. 자연세계에서의 ‘사실’: ‘추론’과 ‘확인’과 ‘능력’의 산물
Ⅳ. 사회현상의 언어화와 사실성의 과잉평가 위험
Ⅴ. 정책 및 정책연구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