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207.176
18.118.207.176
close menu
}
KCI 등재
혐오, 고통, 불안 : 아도르노 반유대주의론의 감정적 토대
Hate, Suffering, Anxiety : Affective foundation of Adornian theory of Antisemitism
이동휘 ( Lee Donghwi )
미학 86권 2호 161-196(36pages)
UCI I410-ECN-0102-2021-100-001166891

유대인 혐오에 대한 아도르노의 견해는 인종 혐오의 정서적 기초에 특히 주목한다. 이 논문은 이를 ‘정신분석학적 반유대주의론’이라고 규정하고, 아도르노의 이론적 동기를 파악함과 함께 그가 주목한 인종 혐오의 정서적 토대를 재구성하기를 목표로 한다. 아도르노는 마르크스와 그의 동료 비판이론가들이 취하는 사회과학적, 합리주의적 관점으로부터 방향을 돌려, 혐오가 지닌 고통의 본성에 집중한다. 아도르노의 이러한 전회는 ‘정신분석학적 사회심리학’이라는 그의 방법론에 기반한다. 그것에 따르면, 사회이론은 본래 정신분석학을 통한 보완을 요청하며, 여기서 정신분석학은 사회 속 개인이 겪는 외상과 교란을 참된 대상으로 삼는다. 이어서 이 논문은 증상-불안-욕동의 프로이트적 메커니즘을 참조하여 혐오에 대한 아도르노의 분석을 해명한다. 그의 목표는 혐오가 ‘주체가 통제할 수 없는 이디오진크라지’라는 전통적 편견을 반박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이디오진크라지적 혐오를 증상으로 규정함으로써 그것의 인과적 연쇄를 드러낸다. 즉, 인종 혐오의 주요 원인은 미메시스 충동의 억압과 지배로부터 주체가 느끼는 불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정신분석학 수용이 그의 사회이론에서 무엇을 성취하는지를 평가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정신분석학적 반유대주의론이 억압적인 혹은 ‘반유대주의적인’ 문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요청한다는 점도 확인할 것이다.

Adorno’s view on Jew-hatred, which can be called ‘psychoanalytic theory of antisemitism’, gives particular attention on the affective foundation of racial hate. But since his argument―however timely it now seems―is not clearly understoo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this theory and to reconstruct its foundation which revolves around a series of affects. Adorno takes turn against the socialized, rationalist view on racial hate which Marx and his peer Critical Theorists take, and focuses more on its nature as suffering(Leiden). This turn is based on his methodology called psychoanalytic socio-psychology, which assumes that social theory, in definition, requires to be supplemented by psychoanalysis and this psychoanalysis in question above all scrutinizes trauma and disturbance from which each individual in society suffers. Based on such methodology, this paper clarifies his argument utilizing freudian mechanism of symptom-anxiety-impulse. Adorno’s goal is to refute the conventional, apologetic prejudice that to hate something is to suffer from uncontrollable idiosyncrasy against an non-identifiable object. After redefining idiosyncratic hate as symptom, Adorno rightly exposes its causal series, which argues that racial hate can find its primary cause in anxiety of the subject whose mimetic impulse is repressed and dominated by society. Eventually this paper tries to show what Adorno’s reception of psychoanalysis achieves in his social theory and why he still cannot but call for additional analysis on repressive, ‘antisemitic’ culture.

Ⅰ. 들어가며
Ⅱ. 기존 혐오이론의 거시적 성격
Ⅲ. '정신분석학적 사회심리학'의 전제와 대상
IV. 아도르노 정신분석학적 반유대주의론
VI. 나가며 : 정신분석학적 반유대주의론의 공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