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부 인사혁신에 있어 조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적정 수준의 분류 기준은 무엇인가?”와 “적정 분류 기준에 따른 중앙행정기관 유형별 최적화된 인사혁신 전략은 무엇인가”라는 두 가지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중앙행정기관의 전략적 인사혁신 목표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차이를 유발하는 다양한 조직 특성을 핵심 기준 요인으로 범주화 하고, 해당 기준 요인을 토대로 중앙행정기관을 유사 속성에 따라 유형화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부 통계 자료 및 전문가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조직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관계 분석 및 탐색적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전략적 인사혁신 목표의 중요도 인식에 있어 차이를 유발하는 조직의 예산 규모, 현원 규모, 특정직 비율, 일반성 수준, 전문성 수준, 기능적 특성 등 7개의 조직 특성을 조직 규모, 일반행정가적 업무 특성, 전문행정가적 업무 특성 등 3개의 핵심 기준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핵심 기준 요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44개 중앙행정기관을 8개 그룹으로 유형화 하였다.
이에 10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1은 중규모 조직으로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이 중간이며, 전문행정가적 요구 수준은 높은 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2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2는 대규모 조직이며,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낮으며, 전문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중간인 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3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3는 대규모 조직이며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과 전문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 모두 중간인 조직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9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4는 소규모 조직이며,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중간이며, 전문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낮은 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9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5는 대규모 조직이며,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낮으며, 전문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높은 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6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6는 중규모 조직이며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과 전문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 모두 높은 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7은 중규모 조직이며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과 전문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 모두 낮은 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4개 기관이 포함되는 Cluster 8은 소규모 조직이며 일반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높으며, 전문행정가적 역량 요구 수준은 낮은 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행정기관 유형별로 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최적화된 인사혁신 전략에 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