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심신과 인과성 : 반사실적 조건문을 중심으로
Mind-body and causality: focusing on the counterfactual
김완종 ( Kim Wan Jong )
기독교철학 vol. 29 7-26(20pages)
UCI I410-ECN-0102-2021-200-001179833

현실 세계에 몸담고 있는 존재자 전체는 단 하나(univocal)의 개별자도 아니며 각기 다른(equivocal) 개별자도 아니며 유사한(analogical) 개별자로 시공간에서 살고 있다. 이 존재들은 시공간 속에서 생성 소멸하며 이 과정 속에서 그것들이 인식하든 인식하지 못하든 통속적인 어떤 원인과 결과의 연쇄 속에 있다. 일반적(통설적으로)으로 우리는 이것을 인과관계, 인과성, 인과, 원인과 결과 등등으로 부른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들은 통속적 인과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인정할 것이다. 모든 존재자들이 어떤 인과관계 속에 얽혀서 살고 있다면 인과적 관계는 존재자들에게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가? 필연성은 아니더라도 어떤 인과적 법칙들이 존재자들 사이에는 있을 수밖에 없는가? 또한 법칙은 있지 않더라도 일정한 형식은 있을 수 없는가? 그리고 인과성은 시공간 속에 있는 존재자들 간에만 적용될 수 있는 원리인가? 다시 말하면 물질적이고 신체적인 측면에서만 고려 될 수 있는 인과성이란 말인가? 비물질적이고 비시공간적인 것, 즉 정신, 영혼, 심적인 것(실체)등은 인과성 속에 포섭될 수 없는 것인가? 만약 포섭될 수 없다면 이런 것들은 없는 것인가? 정신적인 것 또는 심적인 것에 인과성이 있다면 물질적인 것과 연결해서만 인과성을 지닐 수밖에 없는 것인가? 물질적인 것이 원인은 될 수 있지만 심적인 것은 원인이 될 수 없으며 혹 되더라도 물리적 것이 수반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물질적인 것을 배제하고 심적인 것들끼리도 인과적 관계(심심인과)를 지닐 수는 없는 것인가? 물질적인 것과 인과적 관계를 맺는 것은 물질적인 것뿐인가(인과 폐쇄성)? 이런 모든 의문들은 결국 인과성이 무엇인지와 관련이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심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물질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심적인 것과 심적인 것 간의 인과적 고리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든지 그렇지 않든지 간에 인과성은 배제하지 못할 것이다. 다만 그 인과성에 법칙성이 있는지 아니면 그저 우연적이고 개연적인 것인지가 문제이다. 필자는 본 글에서 심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 물리적인 것과 심적인 것, 심적인 것과 심적인 것간의 인과성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인과성이 있다면 이런 종류의 인과성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런 인과성은 필연적인지 아니면 법칙적인지 그렇지 않으면 개연적이고 우연적인 것인지에 대한 인과적 측면을 살펴보려고 한다. 필자는 본 글에서 인과성이 심신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반사실적 조건문(counterfactual)에 근거한 인과성 분석이 모든 인과성을 설명할 수 없지만 대표적 성격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주로 반사질적 조건문에 근거한 인과를 살피고 어떤 인과성이든지 난제와 문제를 안고 있다는 것을 모색할 것이다.

If all beings are intertwined with what causality, is causality necessary for them? What causal laws, if not necessary, must exist among the beings? Also, can't there be a certain form, even if there is no law? And is causality a principle that can only be applied between beings in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causality, which can only be considered in terms of material or physical property? Can non-material and non-visual, i.e., the mind, soul, mental (substance), etc. not be involved in causality? If they can't be involved, are there none of these? If there is causality in the mental or the psychological, is it inevitable to have causality only by linking it to the material? The physical may be the cause, but the mental cannot be the cause, and should it be supervened by physical property? Or can't we have causality (mental-to-mental causation)between mental property and mental property, excluding the material? Is it only physical (the causal closure) to have causal relations with physical? I think all these questions have to do with what causality is after all. Therefore, causality will not be excluded whether or not there is a causal link between the mental and the physical, the material and the physical, the mental and the mental. However,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ausality is nomological or just accidental and probabl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look at the causal aspects of how you can understand this kind of causality if it is causality, whether it is necessary or nomological, or it is probable and accidental, rather than the causality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physical. In this article, I will look at what causality is in terms of mental and physical interaction. Therefore, I think that causality analysis based on a counterfactual statement cannot explain all causality, but can have a representative character, so I will look mainly at causality based on a counterfactual and explore that any causality has challenges and problems.

Ⅰ. 서론적 언급
Ⅱ. 인과성과 반사실적 분석
Ⅲ.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반론
Ⅳ. 개연론(probabilistic theory)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