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7년 4~6월까지 흑천 일대에서 한강납줄개의 조개 유생보육에 따른 작은말조개 내 산란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조개는 327개체이었고, 글로키디아 유생을 보육한 조개 중 한강납줄개의 산란이 확인된 조개는 34개체 (14.1%)로 나타났다. 아가미 위치에 따른 글로키디아 유생을 보육한 조개와 보육하지 않은 조개에서 확인된 알과 자어수는 왼쪽 외반새 5.0±3.58개 (range, 1~8) vs. 2.8±2.13개 (1~9), 왼쪽 내반새 1.5±0.96개 (1~3) vs. 1.7±0.82개 (1~3), 오른쪽 내반새 1.4±0.51개 (1~2) vs. 2.1±1.85개 (1~6), 오른쪽 외반새 6.4±4.82개 (1~20) vs. 3.0±1.86개(1~6)로 나타났다. 아가미 위치에 따른 글로키디아 유생을 보육한 조개와 보육하지 않은 조개에서 확인된 알과 자어의 출현빈도는 왼쪽 외반새 82.6% vs. 73.4%, 왼쪽 내반새 17.4% vs. 9.4%, 오른쪽 내반새 26.1% vs. 15.6%, 오른쪽 외반새 58.7% vs. 67.2%로 나타났다. 글로키디아 유생을 보육한 조개와 보육하지 않은 조개에서 확인된 알과 자어수는 8.5±6.43개 (1~23) vs. 4.5±3.38개 (1~14)였다. 한강납줄개 알과 자어수 그리고 출현빈도는 글로키디아 유생을 보육한 조개와 외반새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spawning characteristics of Hangang bitterling, Rhodeus pseudosericeus inside the host mussel, Unio douglasiae sinuolatus at the Heukcheon Stream in Korea from April to June 2017. 327 mussels were collected, among them, 34 (14.1%) were spawned mussels of R. pseudosericeus with glochidia. The mean number of R. pseudosericeus embryos with or without glochidia by the mussel gill position was 5.0±3.58 (range, 1~8) vs. 2.8±2.13 (1~9) in the left outer demibranch, 1.5±0.96 (1~3) vs. 1.7±0.82 (1~3) in the left inner demibranch, 1.4±0.51 (1~2) vs. 2.1±1.85 (1~6) in the right inner demibranch, and 6.4±4.82 (1~20) vs. 3.0±1.86 (1~6) in the right outer demibranch. The frequency of R. pseudosericeus embryos with or without glochidia by the mussel gill position was 82.6% vs. 73.4% in the left outer demibranch, 17.4% vs. 9.4% in the left inner demibranch, 26.1% vs. 15.6% in the right inner demibranch, and 58.7% vs. 67.2% in the right outer demibranch. The mean number of R. pseudosericeus embryos with or without glochidia was 8.5±6.43 (1~23) vs. 4.5±3.38 (1~14). The number and frequency of R. pseudosericeus embryos were higher in the mussel with glochidia and the outer demibranchs than those without glochidia and with inner demibranc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