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임분의 안정성을 고려한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조사 표본점 259개소의 자료를 통해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상대수확량지수(Relative yield index: Ry)와 형상비(Height-to-diameter ratio: H/D)간의 관계 구명을 통해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찾고자 하였다. 추정된 임분밀도관리도의 설명력(R2)은 0.600으로 나타났다. 상대수확량지수와 세장목의 출현비율의 관계 분석 결과, 일정 임분밀도 이상에 도달할 경우 세장목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해당 곡선에서의 상대수확량지수(Ry)의 임계값은 0.63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풍해, 설해와 같은 자연적인 피해를 저감 할 수 있는 임분 관리 전략 수립과 경제림의 생산력 향상을 위한 임분 시업체계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levels of stand density control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Larix kaempferi stands. A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was developed from 259 sample plots. Based on these data, we determined an optimal level of the stand density control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yield index (Ry) and height-to-diameter ratio. The estimated r-square (R2) of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is 0.600.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y and the slender tree incidence showed that when the stand density exceeded a certain threshold and the ratio of slender trees rapidly increased. The critical value of Ry was 0.6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tand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reduce damage from natural causes, such as wind and snow, and to develop stand practice systems for the improved productivity of commercial fo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