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구성원의 공감능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mpathy of Employe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이재훈 ( Lee Jae Hoon ) , 박계홍 ( Park Kye Hong )
기업경영리뷰 11권 2호 121-144(24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0798670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진실로 이해하며 상대방의 입장과 처한 상황을 내 일처럼 이해해 줄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는 공감능력이 조직구성원들의 몰입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 또한 조직으로부터 자신들의 공헌을 인정받고 수혜를 얻고 있다는 인식정도를 말하는 조직지원인식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조절효과를 통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샘플은 특정 공기업에서 일하는 직원(N=447)으로 구성됐다. 데이터는 체계적 무작위 표본추출을 통해 설문지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구성원들의 공감능력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계층적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가설 검정을 수행했으며,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PSS가 활용되었다. 분석한 결과, 인지적 공감능력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정서적 공감능력은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구성원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나, 구성원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감능력에 따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양자의 관계에서 구성원들의 조직지원 인식에 따라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rough empathy research, I want to express how the ability to think from the other person’s point of view and truly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position and situation affects the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It is also intended to verify how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ch refers to the degree of recognition that their contributions are recognized and benefited from the organization, is controlled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employees (N=447) who work for a certain public compan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systematic random sampling. In terms of the impact of members’ empath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 hypothe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Hypothesis tests were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PSS was used to test the adjustment eff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cognitive empathy has been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emotional empath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Althoug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on the influence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of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confirmed, there was no adjustment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in terms of the impact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of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ability to empathize, and that the influence depends on the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