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03.20
3.144.103.20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잡 크래프팅(job crafting)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Job Crafting among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room Teachers
임동숙 ( Lim Dong Sook ) , 임유하 ( Lim Yoo Ha ) , 신주연 ( Shin Joo Yeon )
초등교육연구 33권 2호 113-141(29pages)
DOI 10.29096/JEE.33.2.05
UCI I410-ECN-0102-2021-300-00085746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학급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잡 크래프팅 수행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초등특수학급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잡 크래프팅 경험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은 과업 영역에서 자신의 가치관·강점·흥미를 반영하여 수업구성을 하였고, 교육청이 주관하는 대회에 참가하거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전문성을 향상하였다. 둘째, 인지 영역에서는 일반학교에서의 특수교사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정체성을 가지려 노력하였고, 특수교사라는 직업을 유지하는 것을 즐겁게 느꼈다. 또한,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인지 수준을 인정하고 수용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작은 변화에 보람과 자긍심을 느꼈다. 셋째, 관계 영역에서는 학교관리자 및 일반교사와의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기도 하였으나 갈등이 생길 수 있는 업무적 관계에서는 회피 또는 축소 등의 관계조절 노력을 보였다. 반면 특수학급 교사들과는 실천공동체를 구성하여 교육봉사·수업공유 등 다양한 소통 활동을 하였고, 정서적 지지를 통해 관계를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건강한 직무활동과 일의 의미 증진을 위한 함의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Job Crafting to teacher who work in a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who worked more than 15 years wer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organized classes to reflect their values, strengths, and interests, and they tried to improve self-efficacy by participating in competitions organized by education office in-local or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curriculum reorganization. Second, in the cognitive crafting, they tried to have a positive identity in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 in the general school, and they felt happy to keep their job as a teacher. They also recognized the cognitive weaknes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gave meaning to small achievement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Third, in the relation crafting,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public and private meetings with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for cooperative relations, but in a conflict relations in business, they showed cynical attitudes such as avoidance or reduction. On the other hand, community of practice was formed to expand their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including education service activity and class sha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on healthy job activities and the meaningful work by special classroom teachers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