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교량공사 제3자 피해 손실에 의한 리스크 분석 연구
A Study on Bridge Construction Risk Analysis for Third-Party Damage
안성진 ( Ahn Sung-jin ) , 남경용 ( Nam Kyung-yong )
UCI I410-ECN-0102-2021-500-000910673

최근 교량은 장대화, 신공법의 도입에 따른 위험요인의 증가로 교량공사에서의 철저한 안전 및 리스크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공사 현장 주변에 있는 발주자 건설공사 관련자 및 공사와 관련이 없는 제 3자의 기존 재산에 손해를 발생시킬수 있어 제3자 피해 손실로 인한 리스크가 명확히 분석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량건설 사업에 대한 국내 주요 보험사의 과거 보험료 지급 실적을 토대로 실제 교량 건설에서 제3자 피해 손실로 인한 손실에 대한 교량건설 특성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정량화된 예측 손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량적 교량건설 손실모형 개발을 위해 사고 건당 보험지급액을 총공사비로 나눈 손실비율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고, 상부구조, 하부구조, 홍수 및 도급순위가 교량건설 중 제3자 피해에 의한 손실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는 건설프로젝트에 대한 손실 평가 모델 개발에 기존의 프로젝트 내부에서 발생한 손실과 더불어 제3자 피해손실을 고려함으로써 더불어 균형 있는 리스크 평가에 필수적인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recent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demand thorough and systematic safety and risk management, due to the increase of risk facto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new and complex construction methods and technologies. Among many types of damages that can occur in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the damages to third parties who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existing property of the contractor construction project can also bring about critical loss in the project in order to compensate the damages. Therefore, risks that could be caused by the loss occurred to indemnify the third party damages should be clearly analyzed, although there are not subsequent amount of studies focusing on the issue. Based on the past record of insurance payment from domestic insurance companies for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bridge construction for loss caused to compensate the third-party damages happened in actual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and to develop a quantified and numerical predictive loss model.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the loss ratio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among many analyzed independent variables, the superstructure, foundation, flood, and ranking of contractors were the four significant risk factor variables that affect the loss ratio. The results produced can be used as an essential guidance for balanced risk assessment, supplementing the existing analysis on material losses in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third-party damage and losses.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교량공사 리스크 분석
4. 회귀분석
5. 결 론
Funding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