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7
216.73.216.17
close menu
KCI 등재
냉전기 통일촌 건설을 통해 본 ‘전방’의 의미화 과정 - 장벽, 전시장, 캠프
Walls, Halls, and Camps: The (De)Construction of ‘Fronts’ and Tongil-chon in Cold War Korea
전원근 ( Chun Wonkeun )
DOI 10.37743/SAH.125.2
UCI I410-ECN-0102-2021-300-000929047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전방’이라는 관념과 공간 구성의 논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논하기 위한 하나의 사례분석으로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에 이루어진 통일촌의 건설과 운영을 살펴본다. 한국전쟁 이후 장기화된 식량부족의 문제는 민통선 이북지역 개간의 필요성으로 이어졌지만, 이러한 경제적·인구학적 필요성은 남북간의 대치와 냉전이라고 하는 안보의 논리와 충돌하였다. 하지만 정부는 곧 전방의 개발과 군사화 속에서 ‘전략촌’이라는 형태를 통해 이 둘의 논리를 절충하였다. 먼저 전방은 자유진영과 공산진영, 남한과 북한, 우리와 적을 나누는 한편, 국토 내부의 위험한 전방지역과 안전한 후방지역을 나누는 이중의 장벽으로 기능했다. 그것은 휴전선 일대의 군사화와 더불어 민북지역 개발과 민통선의 제도화로 나타났다. 또한 고도로 통제된 전방은 적과 외부세계뿐만 아니라 내부의 국민들을 향한 선전물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통일촌은 북한에서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에 당시 통치 권력이 꿈꾸는 이상촌의 모습으로 건설되었고, 그 성과들은 국민에게도 전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통일촌은 특정 목표의 수행을 위해 인간과 사물의 이동성과 속성들을 통제하고 별도의 공간적 질서를 구축하는 예외공간으로서 캠프의 성격을 보여준다. 신체와 사상, 사회적 경력과 가족구성 등 다양한 기준을 통해 선별된 입주민들은 긴 시간 동안 국가와 군의 통제 속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전방이 가지는 정치경제학과 문화적 효과들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고 새로운 공간 구성의 논리와 상상을 위해 전방이 해체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ongil-chon (unification villages) and the use of jeonbang (the front) as a spatial concept from the late-1960 to early 1970s in the South Korea. While food shortages following the Korean War necessitated the development of the northern areas of Civilian Control Line (CCL), this development conflicted with existing security fram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found compromise between these two spatial logics in the form of created jeonryak-chon or strategic hamlets. Through the militarization and development of this area, the jeonbang became a double barrier that served as a wall divid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outh Korea and a wall divides between the dangerous front and the secure rear within its territory. Second, the jeonbang served as an exhibition hall for propaganda towards not only the outside world but also within. The tongil-chon or unification village, for instance, served as a political construct of a utopian society that South Korea used to foment political power amongst their people. Third, the unification villages show the logic of camp and space of exception which the jeonbang has embodied for last 40 years. The government strictly distinguished those who can be inhabitants from those cannot, arranging and establishing new spatial order. The inhabitants, under military control, could not assert their basic rights. These layers of the front are still working in South Korea, limiting popular imagination of territory, security, and border within old Cold War frames. This analysis de-constructs the current logic and discourse on jeonbang in Korean society and asserts that re-imagining this spatial logic can present new possibilities between the two Koreas.

1. 들어가며
2. 냉전기 남북한 경계의 성격
3. 장벽, 전시장, 캠프로서 전방의 구축
4. 탈냉전 과제로서 전방의 해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