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가능성 및 필연성 양태가 다양한 맥락정보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기능으로 발현되는 것을 논증하였다. 양태의 기능이 도출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양태 형식들에서 발현되는 양태 기능들 사이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양태가 도출되는 데 작용하는 맥락정보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논의하였다. 맥락정보는 양태의 개념이 언어화될 때 참고하는 정보로서 양태의 기본의미와 명제 의미 외의 배경의미이다. 양태의 맥락정보는 인식, 평가, 당위, 동적의 네 가지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맥락정보를 바탕으로 양태 기능이 도출되는 과정을 단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양태의 판단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알맞은 맥락정보를 모으는 단계이다. 그 후 맥락정보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가능한 사건들을 파악하고 그 중에서 제일 적합한 사건을 선택한다. 이때 가능한 사건의 개수에 따라 가능성 및 필연성 판단이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양태 도출 과정의 분석 틀을 적용하여 다의적 양태 표현인 ‘-어야 하-’와 ‘-을라’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어야 하-’는 필연성 의미를 가지며 맥락정보에 따라 ‘의무, 추측, 소망’의 기능이 발현된다. ‘-을라’는 가능성 의미를 지니며 맥락정보에 따라 ‘추측, 의지’의 기능이 발현되고 ‘추측과 부정’의 의미가 함께 발현되기도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a possible derivation mechanism of semantic functions for modal expressions in Korean. The interpretation of a modal is dependent on the context; so, in this paper, I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 and the semantic functions of modality. The context is one of criterions dividing the subset of modal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subset of context is divided into epistemic, evaluative, deontic, and a dynamic. The first step of derivation mechanism of modal function is genera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text. Next, a conclusion is drawn through a standard in detail. And finally, speakers determine the speaker's subjective perspective between possibility and necessity. This analysis accounts for various meanings of modality while also maintaining a consistent expla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