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조성음악과 다른 새로운 기법을 창안한 쇤베르크의 음악적 시도는 단순히 조성음악 자체를 거부하고자 한 데서 나온 결과물이 아니다. 쇤베르크의 음악이 마치 기존의 질서를 거부하는 아방가르드 정신의 음악적 표현이라는 것은 매우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이다. 앞서 밝혔듯이 전통적 조성음악에 대한 반감의 핵심은 특정한 조성과 화음을 미리부터 주어진 것으로 전제하는 조성음악에 내재된 태도에 관한 것이다. 현상학적 용어를 빌어 표현하자면, 쇤베르크의 음악적 시도는 자연적 태도로부터 현상학적 태도로 변경하는 현상학적 환원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상학적 환원의 목표는 우리가 당연하다고 받아들이는 이 경험적 세계를 단순히 부정하는데 있는 것이 아닌 그러한 부정을 통해서 보편적인 것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쇤베르크의 무조음악 시기 작품의 몇몇 사례를 들어 그가 사용하는 새로운 법칙들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Schoenberg’s new musical methods are not mere results form the negation of the traditional tonal music. It is an unacceptable opinion that Schoenberg’s new music can be regarded as a musical expression of ‘Avant Garde’ movement which negates all the established orders. Schoenberg’s antipathy against the tonal music lies in the narrow attitude embedded in it. Schoenberg’s music can be interpreted as a musical trial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which demands the change of attitude from the natural attitude to the phenomenological one. The goal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not merely the negation of our empirical world but the searching for the univer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