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기술혁신과 조직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두 혁신유형의 보완적 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Firm Performance: Complementary Effects of Two Innovation Types
문창호 ( Chang-ho Moon )
UCI I410-ECN-0102-2021-000-000966605

혁신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구주제 중의 하나이고 혁신연구는 주로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전형적으로 제품혁신 및 공정 혁신을 가리키는 기술혁신은 기업의 경쟁력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주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반면, 많은 경영관리 및 조직 연구자들이 기업의 기술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조직혁신이 종종 필요하다고 강조하지만, 조직혁신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연구자나 경영실무자 모두에게 특별히 관심 있는 한 중요한 이슈는 기술혁신과 조직혁신이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하는 지의 여부이다. 경영관리 및 기술경영 학자들은 두 혁신유형의 보완적인 효과의 중요성을 제시하지만, 그 두 혁신의 결합 효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혁신에 관한 기존의 연구의 그러한 미비점과 결함을 메우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시행하고 출간한 2014년 한국기술혁신조사-제조부문의 자료와 이 조사에 응답한 기업들에 대한 추가적인 재무성과 자료를 기반으로,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으로 구성되는 기술혁신, 조직혁신 및 기업성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안의 모델들과 가설들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과 조직혁신 사이의 매개 관계와 상호작용 관계를 포함하는 보완적인 효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증 분석결과, 조직혁신이 기업성과 향상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혁신을 구성하는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이 각각 조직혁신과 서로 다른 형태의 매개관계를 통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혁신은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직혁신의 완전매개를 통하여 기업성과에 긍정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공정혁신은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성과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혁신의 부분매개를 통하여서도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기술혁신과 조직혁신의 상호작용 효과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의 결과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Innovation is one of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s in diverse academic fields and the study of innovation has primarily focused on technological aspects. Technological innovation, typically referring to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has been viewed as a key factor in boosting up a firm’s competitiveness and performance. By contrast, research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been relatively scant, although man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researchers emphasize that the relevant introduc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often necessary to successfully implement a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A critical issue of particular interest to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managerial practitioners is whether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complement each other in promoting a firm’s performance. While management and technology scholar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the complementary or synergistic effects of both types of innovatio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ir combined effects on firm performance has been conducted in a limited way. In an effort to fill up such deficiencies or gaps in prior research on innov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and empirically examined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s and hypotheses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chnological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data from the 2014 version of Korea Innovation Survey-Manufacturing Sector and additional financial data provid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in Korea.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performance effects of two forms of complementarity, that is, medi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organizational innovation played a central role in enhancing firm performance and that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making up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ed firm performance respectively through different types of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firm performance but positively influenced firm performance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process innovation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ed firm performance. Furthermore, process innovation promoted firm performance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did not affect firm performanc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 및 가설
III. 연구방법
IV. 토론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