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기초연금 도입 전후 노인 가구 소득액과 소득구성의 변화 -성별 및 가구유형별 비교-
Changes in Income and Income Composition of Elde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 - Comparison of Gender and Households Types -
김정현 ( Kim Jung-hyun ) , 전미애 ( Chun Miae )
UCI I410-ECN-0102-2021-300-00098522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노인에게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도입된 기초연금제도는 노인의 소득수준과 소득구성에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N=9,790) 및 2017년(N=10,299) 노인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연금 도입 후 노인 가구의 소득액과 소득구성이 10 년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성별과 가구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남성독거가구, 여성독거가구, 부부가구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초연금은 남녀 독거노인에게 중요한 소득원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여성독거노인은 사적이전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았고, 부부노인가구는 남녀독거노인에 비하여 근로사업소득 및 공적이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성별, 가구유형별로 기초연금 도입 후 소득구성의 차이를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basic pension system, introduced since 2014 to secure the minimum income for the elderly, has changed the income level and income composition of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d how income and income composition of elderly households chan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 analyzing two waves of the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in 2008(N=9,790) and 2017 (N=10,299). To find out whether these changes differ among the elderly by gender and household type males living alone, females living alone, and married couples were compar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basic pensions have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gardless of gender, however women living alone were still highly dependent on private transfer. Married couples had higher dependence on labor income and public transfer than those living alone. The differences in income composi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s by gender and household type is describ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