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Lactobacillus를 주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성적, 혈액성분 및 장내 유산균에 미치는 효과:메타분석
Effect of Lactobacillus Base Probiotics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Cecal Lactic Acid Bacteria of Broiler Chicken: Meta-analysis
최낙진 ( Choi Nag-jin ) , 황인호 ( Hwang In-ho ) , 박철 ( Park Chul ) , 김대철 ( Kim Dae-cheol ) , 백승우 ( Baek Seung-woo ) , 문상호 ( Moon Sang-ho ) , 조원모 ( Cho Won-mo ) , 홍성구 ( Hong Seong-koo )
UCI I410-ECN-0102-2021-500-001001760

최근 축산에 있어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항생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생균제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우수한 소재로 인식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생균제가 육계의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메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997년에서 2010 년까지 보고된 총 18편의 연구논물들을 메타분석에 사용하였다. 표준화된 요약 효과는 모수효과모형과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Borenstein et al., 2009). 연구간의 이질성 평가는 Cochran’s Q statistics(Kook et al., 2009)을 사용하였고, publication bias는 Egger’s regression(Lee et al., 2011)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모수효과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에서는 일당증체량, 체중, 혈청단백질 및 장내 유산균 성적이 유의적인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사료섭취량, 사료효율(feed/gain) 및 혈청 cholesterol은 유의적인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중성지방도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을 발견되지 않았다.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일당증체량, 체중 및 장내 유산균은 유의적인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사료효율과 혈중 cholesterol은 유의적인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Publication 편의는 사료효율(feed/gain)에서만 나타났다.

Recently, the use of antibiotics to improve animal productivity in livestock industry was strictly restricted. For these reason, probiotics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promising materials for an antibiotic alternativ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probiotics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 via meta-analysis. Eighteen researches from 1997 to 2010 were used for meta-analysis. The standard summary effects were calculated via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Borenstein et al., 2009). Heterogeneity was calculated by using the Cochran’s Q statistics (Kook et al., 2009) and publication bias was calculated via Egger’s regression (Lee et al., 2011). In fixed model average daily gain, body weight serum protein content and cecal LAB showed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Feed intake, feed/gain and serum cholesterol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 serum triglyceride, negative effect was found but significance was not shown. In random model, average daily gain body weight and cecal LAB showed positive effects with significance and feed/gain and serum cholesterol represent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Publication bias was found only in feed/gain.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