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기축산을 위한 자급 사료 확보에 도움이 되고자 수량이 많은 유기 부산물을 위주로 하여, 사료적 가치평가 및 수입 유기사료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입 유기원료사료(옥수수, 대두박, 대두종실, 귀리, 보리, 소맥, 메밀, 해바라기박) 및 국내 유기 부산물(미강, 포도씨박, 볏짚, 대두피, 비지, 왕겨, 청치, 싸라기) 총 16점을 일반성분, NDF, ADF, 아미노산, 광물질 및 항영양인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입 유기원료사료의 일반성분, NDF 및 ADF 분석 결과에서 건물과 NDF, ADF 함량은 관행과 비교하여 유기사료에서 더 높았으며 특히, 유기 대두박의 지방 함량은 9.65%로 관행대두박의 1.95%보다 6배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지방 함량은 미강, 포도씨박, 청치 및 싸라기에서 각각 25.66, 6.09, 3.57 및 1.59%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은 비지와 대두피에서 19.87, 14.68%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아플라톡신의 검출 결과에서 모든 원료사료에서 검출되지 않았거나 기준치보다 낮게 측정되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부산물 중 에너지원으로는 미강, 청치 및 싸라기가 사료적 가치가 높았으며, 단백질원으로는 대두피 및 비지가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사양실험을 통해 유기 부산물의 유기사료 대체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locally produced organic agricultural by-products to substitute imported organic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Imported organic feeds (corn grain, soybean meal, soybean seed, oat grain, barley grain, wheat grain, buckwheat, sunflower seed meal) and byproducts (rice bran, grape seed meal, rice straw, soybean hull, soybean curd, rice hul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NDF, ADF, mineral, and amino acid content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Dry matter, NDF and ADF contents in organic feeds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feeds. Especially, the 9.65% fat content of organic soybean meal was 6 times higher than the 1.95% fat content of conventional soybean meal. Fat contents of rice bran, grape seed mea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25.66, 6.09, 3.57 and 1.59%, respectively. Protein contents of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were 14.68 and 19.87%, respectively, which are highest among organic by-products. Levels of aflatoxin in all feeds were below the safety level. Therefore, organic rice bran,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as energy source, and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as protein source could partial replace imported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