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하는가? 어떻게 한반도 전쟁은 종결되는가? 본 연구는 한반도 전쟁의 특성을 세력전이와 완충지대 관점에서 살펴본다. 16세기 이후 한반도에서 발발한 전쟁은 다자국이 얽힌 가운데 대규모 사망자를 발생시킨 충돌로서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밀접히 연계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대규모 전쟁은 패권국의 쇠락과 강대국의 부상이라는 상황 속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갈등에서 출발하였다. 상대국에 대한 “절대적 승리”가 불가능하더라도 한반도와 같은 “전략적 영토”를 차지하면 자국 방어가 용이한 가운데 역내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다. 19세기 일본은 신속한 근대화에 성공한 후 청일전쟁을 통하여 한반도에 대한 청의 종주권을 종식시키고 동아시아 강대국으로 등극하였다. 이러한 “치욕의 세기”를 뒤로하고 경제강국이 된 중국은 향후 한반도를 둘러싼 치열한 경쟁과 갈등을 미국과 펼칠 것이다.
What caused wars on the Korean peninsula? How did they start and end? Focusing on power shift and geopolitic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ccurrence and scale of interstate wars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sixteenth century. All (or most) of them were large-scale(high battle deaths) and multilateral(multiple participants) conflicts closely related with East Asian regional orders. The main causes of the wars were (1) power shift between major states and (2) strategic value of Korea. The Sino-Japanese War(1894-95) shows how their interaction caused and lengthened the clash between Japan and China and how the war changed the regional order from China-centered to Imperial. This study implies the twenty-first century Sino-US competition for strategic territories such as Korea is likely to intensify so long as their power gap de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