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55
216.73.216.55
close menu
KCI 등재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TV 기업광고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produced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백주연 ( Baik Juyoun ) , 장동련 ( Chang Dong Ryun )
DOI 10.47294/KSBDA.21.1.19
UCI I410-ECN-0102-2021-600-00043103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그동안 기업 위기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기업위기와 연관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제작된 TV 기업광고의 특징이나 경향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하에 지난 10여 년간 국내 기업이 위기극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제작한 TV 기업광고에 대한 경향과 특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 기업들의 위기에 있어 유용한 참고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TVCF(www.tvcf.co.kr)의 데이터 자료들을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총 564편의 기업광고들 중 기업 위기관련 초기보도 기사들과 비교하여 기업위기와 관련된 56편의 지상파 TV 기업광고들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V 기업광고의 수는 전반적으로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에 가장 많이 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소구전략은 감성적 소구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광고 장르에 있어서는 이미지광고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모델유형은 일반인 모델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광고의 색에 있어서는 컬러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광고의 언어적 속성에 있어서는 평서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영상 이미지에 따른 언어적 속성에 있어서는 무관한 표현유형이 압도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는 기업 위기와 관련된 연구 영역의 확장이라는 학문적 의의와 함께 향후 국내 기업들의 위기에 있어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위기관리 담당자나 CEO 등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지휘하고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들에게 매우 실용적이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Despit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es about corporate crisis, there has not been much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produced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relevant and practical supplementary material to aid future domestic corporate’s crisis management, this research observe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produced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by South Korean corporations for the past decade. Utilizing data from TVCF (www.tvcf.co.kr), this research compared the total of 564 corporate advertisements broadcasted between 2007-2018 to initial news reports about corporate crisis, and then identified 56 terrestrial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that are related to corporate crisis management. Firs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were mostly produced in years 2007-2009. Second, emotional appeal is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advertising appeal strategies. Third, image advertising is most widely used among varying advertisement genres. Fourth, non-professional models are most likely to be used as a type of TV advertisement model, and full color advertising is the most prevalent advertisement color preference. Finally, regarding the linguistic elements of advertisements, statements were most frequently used over other elements; irrelevant-matching expression types were the vast majority in the case of the linguistic elements of video images. This research does not only serve an academic purpose of extending the research domain on corporate crisis and providing a supplementary aid to future domestic corporate crisis but also will serve as a practical and constructive reference for individuals who lead corporat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corporate crisis manager or CEO.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