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ㆍ중등 교육과정에서는 성 불평등을 주제로 교육하고 성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 분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삽화는 학습동기 유발과 학생의 성 인식 형성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성 불평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7차 교육과정 이후 고등학교 사회ㆍ문화 교과서 내 성 불평등에 대한 삽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표 중심 삽화, 불친절한 캡션, 학생 친화적이지 않은 삽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외국 교과서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미지 중심의 삽화, 친절한 캡션, 학생 친화적인 삽화로 구성된 특징이 나타났다. 향후 고등학교 사회ㆍ문화 교과서 내 삽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성 불평등이라는 주제를 다면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교과서 집필 시 외국 교과서의 사례를 참고하여 삽화를 제공한다면 제기된 문제가 해결되면서 질 높은 교과서가 제공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education on gender inequality is offered and efforts are made to improve gender awareness of students. And in the context of decreasing textbook volumes, illustrations have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motivation for learning and shaping students’ gender awareness. This paper analyzed the illustrations of gender inequality in the high school social and cultural textbooks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result is a feature that chart-based illustrations, unfriendly captions, and student-unfriendly contents were identified as problems. As an alternative, the examples of foreign textbooks were examined. The result is a feature that consists of image-centric illustrations, friendly captions, and student-friendly illustrations. In order to convey the multifaceted and effective theme of gender inequality to students through illustrations in the high school social and cultural textbook. It is expected that if textbooks are provid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of foreign textbooks, they will provide high-quality textbooks as the issues raised are res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