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4차 산업혁명 및 고령화 시대의 뷰티서비스 산업의 변화추이: 스마트 뷰티케어 피부미용 시장의 확장성을 중심으로
Changes in Beauty Service Industry in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ging: Focused on Expandability of the Smart Beauty Care Market
박정수 ( Jeongsu Park )
인문사회 21 11권 1호 205-219(15pages)
DOI 10.22143/HSS21.11.1.16
UCI I410-ECN-0102-2021-000-00042900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뷰티케어 기술혁신과 고령화에 따른 뷰티산업 동향 파악을 통해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한국 뷰티 서비스업의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국내외 기업의 스마트 뷰티케어 개발 현황파악과 국내외 고령화의 현황파악을 통한 시장 동향, 시장 규모, 산업 변화 등을 강조하는 동향분석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가상현실을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형태인 스마트 뷰티 브랜드 사례의 동향 파악과 사회적 이슈인 고령화로 인한 소비층을 고려한 항노화 관련 뷰티서비스 산업의 실태파악을 통해 뷰티산업의 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미는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에 따른 뷰티서비스업의 변화양상과 사회 구조적 인구변화에 따른 고령화 사회에서 뷰티 산업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뷰티케어 제품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ICT 산업과 스마트 뷰티케어의 적극적인 수렴 전략을 통해 뷰티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확인한 것에 의미를 가지며, 추후 폭넓은 뷰티케어의 연구 동향 파악을 통해 스마트 뷰티케어의 확산이 주는 사회적 뷰티서비스 산업 발전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c alternatives for the Korean beauty service industry by drawing implications for smart beauty care technology innovation and aging of the beauty indus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study presents trend analysis that emphasizes market trends, market size, and industry changes through the grasp of smart beauty care developm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companies and the grasp of aging population at home and abroad.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smart beauty brand cases, a convergence form of products and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examines the trend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through anti-aging related beauty service industry considering the consumer population due to aging. Let's look at. The meaning of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mart beauty care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consume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beauty industry trends in the aging society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nd the social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t is.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growth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through an active convergence strategy between the ICT industry and smart beauty care, and the social beauty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trend of the spread of smart beauty care through grasping the research trend of the broad beauty care. Need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뷰티케어 피부미용 서비스 산업의 동향
Ⅳ. 고령화 시대 진입에 따른 뷰티서비스 산업의 동향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