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를 활용한 유아 문제행동의 개인차 및 종단적 변화 양상 파악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Patterns of Longitudinal Changes i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양윤식 ( Yoon-sik Yang ) , 이태헌 ( Tae-hun Lee )
조사연구 21권 1호 91-115(25pages)
DOI 10.20997/SR.21.1.4
UCI I410-ECN-0102-2021-300-000434641

유아의 문제행동은 향후 청소년기 및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유아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교육 기관 등 유아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개입 전략의 수립을 위한 전단계로서 유아의 문제행동의 개인차 및 이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잠재 전이 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활용하여 한국아동패널의 3개년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유아의 문제 행동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유형은 가장 심각하고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문제 계층, 사회적 위축을 보이는 위축 계층,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어 추적 관찰이 필요다고 여겨지는 관심 계층, 드러난 문제행동이 없고 가장 많은 유아가 속하는 평범 계층으로 명명하였다. 전이 확률의 추정을 통해 드러난 각 유형의 종단적 변화는, 문제행동의 수준이 줄어들거나 혹은 평범 계층이 유지되기도 하고, 문제 계층이 꾸준히 지속되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등 그 양상이 다양하였다. 또한 위축과 관심 계층은 상호 전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의 네 가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문제행동의 유형별로 DSM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고,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LTA를 활용한 연구의 시사점에 관하여 논하였다.

Problematic behaviors of infants can be continued until adolescence and adulthood in the future and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fants as well as famil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used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 to provide empir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intervention strategies. We analyzed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1.5-5) data from a panel study on Korean Child Panel(PSKC). Four latent statuses were characterized for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problematic behaviors in children by the LTA: the most problematic status with most severe problematic behaviors(problematic), a status with being socially withdrawn(withdrawal), a status with a need of concern because of the potentiality of problematic behaviors(concerned), and a typical status with no problematic behaviors (typical). In addition, transition probability enabled us to represent various longitudinal changes not only the normal ones such as remaining in a normal status or decreased problematic behavioral level but also the abnormal ones such as remaining in a problematic status or increased the problematic behavioral level. The withdrawal and attention status have an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The withdrawal status is more likely to longitudinally induce the internalizing problems while the attention status is more likely to longitudinally induce the externalizing proble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ithdrawal and attention status might be the beginning stage of internal and external behavioral development, respectively. I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종합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