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 경험을 토대로 사회적 환경요인으로서 사회적 자본의 핵심요인인 사회적 신뢰에 주목하고 하위변인인 일반신뢰, 공공신뢰, 민간신뢰, 정부신뢰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북한이 탈주민의 사회적 신뢰 요인 중 일반신뢰만이 직업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신뢰, 민간신뢰, 정부신뢰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에서 동료와의 관계 등 타인에 대한 일반 신뢰가 높을 경우 안윤정(2014)의 연구에서와 같이 신뢰가 인간관계 네트워크 및 사회참여를 활성화시켜 직업적응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제적 적응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갖고 있는 직업적응과 관련된 연구로 사회적 신뢰와의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본 연구결과는, 현대사회의 복잡해진 직업적응과정에서 규범, 네트워크, 참여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의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Based on the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workplac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social trust, a key factor in social capital, and looked at the impact of lower-level spokespersons, general trust, public trust, private trust, and government trust on job adaptation. To that end, 82 North Korean defectors were surveyed using data. In summary, the analysis showed that only general trust among the social trust factors of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adaptation, while public trust, private trust and government trust were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when there is high general trust in others, such as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t work, trust helps to adapt to the profession by activating human relations networks and social participation, as in Ahn Yoon-jung’s study (2014).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occupational adaptations that have a very important impact in the course of economic adaptation, are meaningful in terms of the possibility that the study could extend from the complicated vocational adaptations of modern society to the realm of social capital, including norms, networks and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