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3.4.99
3.143.4.99
close menu
}
KCI 등재
열차주행속도를 고려한 무도상교량 플레이트거더의 충격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Estimation of the Impact Factor of an Open Deck Steel Plate Girder Bridge by Considering the Train Velocity
전병흔 ( Jeon Byeong-heun ) , 김학승 ( Kim Hak-seung ) , 황인영 ( Hwang In-young ) , 김경호 ( Kim Kyoung-ho )
UCI I410-ECN-0102-2021-500-000444958

무도상 교량은 레일을 이음매판으로 부설하여 사용하고 있어 과다한 충격이나 궤도 틀림 등의 발생 우려로 인하여 열차의 고속주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열차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여 동적 안전성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는 열차가 운용중인 판형교량의 현장계측을 통하여 궤도 구조 및 주거더의 충격계수를 도출하고 이를 기존연구와 비교 및 참고하여 열차의 주행속도를 고려한 충격계수의 추정식을 산정하였다. 궤도의 충격계수 산정식은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식과 유사하게 산정되었으며, 무도상교량 거더의 충격계수 산정식과 일본의 철도교 충격계수 식과 비교한 결과, 일본의 철도교 충격계수 식은 본 연구에서 산정한 거더의 충격계수 1배수 식과 2배수 식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steel plate girder rail bridges are formed by joint plates, high-speed trains are hardly driven on them due to the risk of excessive track shock or disorder. In this study, the impact factor for a track structure and its main girder was derived through field measurements on a steel plate girder bridge under operation and by considering the train driving speed of train; an equation similar to that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as used. A comparison between the impact factor equations for the girder and for the Japanese railway bridges showed that the impact factor coefficient resulting from the second one is between the 1st and 2nd equations for the estimated girder.

1. 서 론
2. 충격계수에 대한 설계기준
3. 현장측정 결과 분석
4. 결 론
감사의 말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