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60.26
3.19.60.26
close menu
시진핑 집권기 미중 패권경쟁과 ‘중국몽’의 길
The Sino-US Great Power Competition and the Road to China’s Dream Under the Xi’s Regime
김재관 ( Kim Jaekwan )
acta eurasiatica 10권 2호 43-67(25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453680

이 글은 시진핑 집권기 미-중 강대국 경쟁과 ‘중국몽’의 길에 대한 검토이다. 시진핑은 2012년 당내 최고 권력으로 선출되자마자, 시진핑 신시대 중국특색의 대국외교를 야심차게 추진해왔다. 그러면서 시진핑 정부는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으로 일컬어지는 ‘중국몽’을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이 중국몽의 선언은 중국공산당의 집권 정당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시진핑 개인 권력의 기반을 공고화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최근에 미중 관계와 관련하여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안보상의 우려는 글로벌 강대국으로서의 중국의 부상이 미중 패권경쟁을 야기할 뿐 아니라 이 경쟁이 투키디데스 함정에 빠질지도 모른다는 점이다. 미국과 중국은 대국 충돌 상황에서 투키디데스 함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시 정부는 인류운명공동체 건설과 중국몽 실현을 위해 지경학적 수단들, 가령 ‘일대일로’ 구상을 이용해왔는데, 이 구상은 흔히 중국이 대국이 되기 위한 ‘서진 전략’이라고들 간주되곤 한다. 그러므로 압도적인 패권국가로서 미국은 초당적 차원에서 중국의 확장을 막기 위한 일부 봉쇄 전략들을 추진해왔다. 이들 전략들은 오바마 집권기에 아태 재균형 전략이라든가 트럼프 집권기에 인도-태평양 전략으로 불리운다. 그래서 대국들 간에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존재한다. 비록 강대국들 사이에서 전쟁이 도래 할 잠재적 가능성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내가 평가하는 한에서 더욱 큰 가능성은 바로 미국과 중국이 미래에 상호 공존을 향해 함께 협력을 증진시킴으로써 공동 이익을 획득하기 위해 대재난으로 빠져드는 전면전을 회피하고자 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 밖에 시 정부는 유라시아 역내에 중국의 신조공체제로 대표되는 중국적 세계질서라는 뉴 버전을 고안 중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시진핑 체제 하의 새로운 외교담론들이 중국 학계에서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일부 중국의 보수적인 학자들은 선진(先秦)시대의 전통 사상들에 기원을 둔 새로운 국제관계 이론들을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런 흐름은 세계에 소위 ‘중국위협’이라는 우려들을 야기 시킬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Sino-US great power competition and the road to China’s dream under the Xi’s regime. As soon as Xijinping was elected as the paramount leader 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ince 2012, he has continued to ambitiously proceed the great power diplom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of Xijinping. At the same time, Xi’s administration openly declared the China’s Dream called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not only to enhance legitimacy of rule of CCP, but also to consolidate the base of his power. In recent years, with regard to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re are pervasive security concerns that the rise of China as a globally great power has brought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U.S. and China which might slide into the Thucydides’s Trap. Can America and China Escape Thucydides's Trap in the circumstances of conflict of the great powers? Xi’s administration has attempted to build ‘Common Destiny for Mankind’ and to realize China’s Dream through geo-economic means such a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BRI) regarded as the west-ward grand strategy of China becoming great power. In contrast, the United States consider BRI China’s strategy of expansion toward great power. Therefore the United States as an overwhelming hegemonic power has implemented some of bipartisan containment strategies against expansion of China, which have been called ‘Rebalancing strategy’ in the Asia-Pacific under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the Indo-Pacific Strategy’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So there is pessimistic vision to be inescapable clash between the great powers. Although there are potential probabilities of decline of war among the great powers, as far as I estimate, it is more possible that the US and China would try to avoid all-out war to drive into catastrophe for the purpose of gaining common interests by improving cooperation together toward co-existence in the future. Besides, Xi’s administration has tried to forge new version of Chinese World Order representing new Tributary system of China in the region of Eurasia. These new diplomatic discourses under Xi’ regime are pervaded and popular in academic sphere of China. Some of chinese conservative scholars have been focusing on creating new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IR) originated from traditional thoughts of Pre-Qin times. These trends might easily bring about concerns so called ‘China threat’ in the world.

Ⅰ. 머리말
Ⅱ. 미중 패권 경쟁은 결국 ‘투키디데스의 함정’에 빠질 것인가?
Ⅲ. 중화민족 부흥의 길 ‘중국의 꿈’ 그리고 악몽?
Ⅳ. ‘중국몽’과 ‘21세기 중국적 세계질서론’의 등장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