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00대 국정과제 중에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자치분권”이라는 과제를 선정하여 “획기적인 자치분권 추진과 주민참여의 실질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 주민참여의 실질화란 단체자치보다는 주민자치를 보다 강화하려는 것인데 여기에는 주민자치회의 법적 근거를 만드는 것도 포함된다고 하겠다. 이에 따라 정부가 2019년 3월 정부제출법안으로 국회에 제출한 지방자치법전부개정안에 주민자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주민자치회에 대한 입법안이 마련된 상황에서 주민자치회에 관한 법리검토를 하는 것은 시사성이 있는 논의라고 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은 주민자치회의 법적 설계를 주민주권과 주민자치와 연계해서 논의하고 있다. 헌법은 지방자치에 관해서 독립된 장을 설치하여 규정하고 있지만 지방자치의 형식이나 입법권, 재정권, 조직권 등에 관해서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 헌법은 제8장 “지방자치”의 장으로 하여 제117조, 제118조의 단 2개 조문만을 두고 있을 뿐인데 이 내용들도 주로 지방자치단체에 관한 것들이어서 이른바 단체자치에 관한 내용을 규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현행 헌법은 주민자치나 주민자치회 등에 관한 내용은 규정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현행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과 “지방자치법전부개정안”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민자치회에 관한 내용들을 검토하여 타당성과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검토내용으로는 주민자치위원의 선임방법에 대해서 지방의회의원들처럼 주민들이 직접 선출하는 제도를 도입할 것인지 아니면 지역에 거주하는 행정전문가(전직 공무원)나 지식인그룹(교수나 사회단체 등 전문직 종사자 등) 등을 추천을 통해서 자치단체장이 선임(위촉)할 것인지 등 주민자치위원의 선임방법에 관한 것에서부터 주민에 의한 민주성 내지 대표성, 전문성 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나아가서 주민자치회의 권한의 범위와 기존 행정기관과의 관계설정 등에 대해서도 그 당부를 검토하여 견해를 제시하여 주민자치회가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운영될 수 있는 초안을 제안하고 있다.
The government has selected a task called "autonomous autonomy to realize grassroots democracy" among the 100 major state affairs, seeking to "promote a systematic autonomy and actualize residents’ participation." The realization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s to strengthen the autonomy of residents rather than self-governing groups, which includes the creation of a legal basis for residents' councils. Accordingly, the amendment bill to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the government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March 2019, stipulates matter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cal residents' councils. Therefore, it is a suggestive discussion to conduct a legal review on the residents' autonomous communities at a time when a legislative bill on the residents' autonomous communities is in place, and this paper discusses the legal design of the residents' autonomous communities in conjunction with their sovereignty and their autonomous communities. The Constitution establishes and stipulates independent chapters on local autonomy, but it remains silent on the form of local autonomy, legislative power, financial power, and organizational power. The current Constitution does not stipulate matters concerning the autonomy of residents or local councils, as it is mainly concerned with local governments and only two clauses of Article
Taking these points into account,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Special Act on the Reform of Regional Divisions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and the "Proposals for Local Autonomy Act" to present the feasibility and problems. The main review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to be selected by residents, such as by local council members, or by recommendation by local government experts (formerly government officials) or groups of intellectuals (such as professors or social organizations), on how to select members of the local residents' autonomous governments, such as those of local council members, to consider the scope of the existing local administrative body's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