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필자가 3년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작성한 서양영화 DB(1910-1945)를 바탕으로, 1920년대 조선의 극장에서 가장 인기있었던 미국영화의 남성 스타들(에디 폴로 및 더글라스 페어뱅크스)과 조선의 나운규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서양영화 DB는 불완전하나마 식민지시대 조선에 수입, 상영된 서양영화의 면모를 조명할 수 있게 해주는데, 그것을 바탕으로 조선에서의 영화 관람성을 규명할 하나의 방법으로서 초기의 스타덤 분석은 유용하다. 이 DB를 통해 살펴본바, 연속영화 <명금(1915)>을 통해 조선에서 처음으로 영화 ‘스타’ 개념을 구축한 에디 폴로가 1924년을 전후하여 그 영향력을 잃어가면서 <로빈 후드(1922)>, <바그다드의 도적(1924)>으로 인기를 얻은 더글라스 페어뱅크스가 스타덤에 오르고, 그 지위는 식민지 시대를 통틀어 압도적인 것이었음이 밝혀졌다. <아리랑(1926)>으로 조선인 최초의 영화 ‘스타’가 된 나운규가 에디 폴로 및 더글라스 페어뱅크스와 비교되었던 건 자연스러운데, 나운규는 영화만이 아니라 「탈춤(심훈, 1926)」, 「승방비곡(최독견, 1927)」등의 영화소설을 통해서도 일간지라는 미디어에 자신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노출하면서 스타덤을 형성한다. 더글라스 페어뱅크스와 나운규는 1920년대 후반 극장가에서 경쟁관계에 놓이기도 하는데, 액션스타라는 공통점과 동시에 이 가장 미국적인 스타와 식민지의 스타는 차이점을 지닌다. 이는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이 구축되던 무렵의 낙관주의와 숨길 수 없는 계급적(민족적) 분한 사이의 격차가 낳은 영웅성의 차이이기도 하다.
This paper compares the star image of the most famous Korean silent filmic hero NA Un-kyu to that of Douglas Fairbanks, the “King of Hollywoo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This comparison is based on the database of imported films from 1910 to 1945 that I’ve constructed while conducting co-research project since 2014. While Eddie Polo, who stars in The Broken Coin(Francis Ford, 1915), was the first recognized movie star in Korea, Fairbanks was the one who gained enthusiastic applauds both from intellectuals and from regular moviegoers. 22 of Douglas Fairbanks’s films were imported and screened in colonial Seoul between 1920 and 1936, while the total number of feature films he starred between 1918 and 1936 was 25. His films were the object of severe competition among exhibition companies in late 1920s, the popularity of which was only comparable with that of NA Un-kyu who became a big name with his mega-hit film Arirang in 1926.
This paper provides a detailed time-line of the competition between Fairbanks and NA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transmedia personae in late 1920s in colonial Korea. While Fairbanks maintains his worldwide popularity in colonial Seoul, especially proved by the ceaseless screening of his films, old and new, NA builds his colonial star persona whose motivation of activity is mainly classical(or national) ressent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