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T-PEC)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각 1인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within-case 분석결과, 중학교 A 교사는 높은 과정 중심 평가 계획 역량과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을 보였으나, 비평준화 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낮은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을 나타내었다. 고등학교 B 교사는 높은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을 보였으나, 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의 자유도가 높지 않아 다소 낮은 과정 중심 평가 실행 역량을 나타내었고, 시간부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학교문화로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cross-case 분석결과, 중학교 A 교사와 고등학교 B 교사 모두 협력적 의사소통이 가장 높게, 시간부족으로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에 관한 명확한 기준 부재로 인해 두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이해 양상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B 교사는 평가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의미부여, 보안 문제,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의 현실로 인해 A 교사 대비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교사들에게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야 하고, 둘째, 과정 중심 평가 실행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시간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도입이 필요하며, 셋째, 과정 중심 평가 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보안이 보장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평준화 확대 적용 등의 과정 중심 평가 실행을 위한 학교문화를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of a middleschool/ high-school science teacher using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T-PEC) measurement tool. The case analysis shows that teacher A in a middle school represents high competency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planning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while the competency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is low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on-standardized areas. Teacher B in a high school shows high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whereas low level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xecution competency because the freedom given to students is not enough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The teacher also shows very low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due to the lack of time and the school culture not giving feedback to the students. According to cross-case analysis, teacher A and B both represent the highest level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lowest level of utilization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competency. And the lack of clear criteria for process-centered evaluation leads to different understanding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between the two teachers, and teacher B shows low the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affects results due to the students not being concerned on feedback, security problem, and the reality focusing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clear guideline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to teachers, introducing an application in order to solve the time-lack problem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nsuring objectivity and security about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and building the school culture such as the expanded application of standardized areas in order to implement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