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23
216.73.216.123
close menu
자연계열 재학생의 전형유형별 학교생활적응 비교 분석 - K대학 재학생의 실제 경험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Life by Enrollment Type in Depart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 Based on Actual Experience of K University Students
박소연 ( Park So-yeon ) , 정다운 ( Jung Da-woon ) , 최혜림 ( Choi Hye-rim ) , 조민경 ( Cho Min-gyeong )
입학전형연구 8권 113-146(34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512746

본 연구는 K대학의 자연계열 입학생을 대상으로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학교생활 참여, 학교생활 만족도, 학습 성과 3가지 측면에서 전형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입학생들의 심층면담 결과 전형 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첫째 ‘학교생활 참여’ 관련 ‘수업 내 활동’에 대해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은 타인과의 협력을 통한 집단 활동을 선호하는 반면, 논술과 수능전형 입학생은 대체로 개별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는 집단활동(팀프로젝트. 토론, 발표 등) 위주로 진행되는 교양수업을 선호하는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들과 달리, 개별활동 위주로 진행되는 전공수업을 선호하는 논술 및 수능전형 학생들의 ‘수업내용 선호도 결과’와도 상통하는 결과였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 관련 ‘학교(대학) 및 학과 추천의사’에서 학생부종합 전형학생은 대학 추천의사가 크다고 답변하였고, 논술과 수능전형 학생은 학과 추천의사가 크다고 답변하였다. 셋째, ‘학습 성과’와 관련하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경우 수학 및 과학 기초교과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자연계열 전공과목의 특성상 초기 학점 취득을 어려워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고교 내신 관리처럼 꾸준한 노력으로 고학년이 되면 그 차이가 줄어든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비해서 수능 전형 입학생은 수학과 과학 등의 전공기초 과목에서 두각을 보인지만 수능 공부에 대한 보상심리 때문에 대학 진학 후 학업에 소홀히 하는 등의 성실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많이 나왔다. 이러한 사항은 전문가 자문에서도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들의 경우, 성실성과 리더십, 의사소통 등이 뛰어나며, 논술/수능전형 학생들의 경우 학업적성 면에서 수학과 과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의견과 동일한 내용이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K대학 전형 설계 및 학력 증진과 학생 참여 관련 사후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students pursuing typical majors at K University,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type of admission. We then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ypes of admission with regards to three aspects: participation in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learning performance. In-depth interview resul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ypes of admission. First, for 'in-class activities' related to 'in-school life participation', students with a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 prefer group activities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s, while essay and CSAT admissions generally prefer individual activities. Second, in 'School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for Schools(University) and departments', the general student in the student division replied that the recommendation for universities is large, while the essay and CSAT students answered that the recommendation for departments is large. Third, some students stated, with regards to 'study performance', that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obtain grades in the early grade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of majors centered on basic math and science subjects, but there were opinions that the difference would decrease when high school grades were made due to continuous efforts such as high school records management. This was the same as the opinion in expert advice that students with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 had excellent sincerity,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and that students with essay/CSAT admission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math and science as evidenced by their academic performanc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 University admission design, educational background enhancement and follow-up programs related to student participation.

Ⅰ. 서 론
Ⅱ. 자연계열 재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현황
Ⅲ. 자연계열 재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현황 전형유형별 비교 분석
Ⅳ.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