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후보
무역수출 라이브지수를 활용한 중소수출기업 발굴 연구
A Study on Detection of Small Export Companies Utilizing Trade Exports Live Index
김희천 ( Heecheon Kim ) , 임춘성 ( Choon Seong Leem ) , 성주원 ( Juwon Sung )
UCI I410-ECN-0102-2021-500-000520993

무역수출 분야에서 수출 지수에 관한 논의는 수차례 있었으나 객관적 지표로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무역수출 지수는 없다. 한국무역협회(KIT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에서 지표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수출기업의 역량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현재 계속 고민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규모, 신용도와 같은 공시지표와 거래고객수, 거래횟수, 상품개수, 거래량, 거래기간 등의 활동지표를 feature로 설정하여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딥러닝 알고리즘에서 Lightgbm을 이용하여 수출 가능 기업에 대한 분류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기업이 속한 산업 군집 분류 모델로 Graph 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기업간, 품목간, 사업군에서의 수출 가능 역량을 표현하는 수출 Live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지수를 산출하는 현재로부터 기업의 과거 활동을 포함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export indices in trade exports, but there is no definite trade export index which can be explained by objective indicators.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etc., but we are currently in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ways to express the capabilities of exporting companie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the AI data sets by setting the activity indicators such as the size of the company and the credit score, the number of transaction customers, the number of transactions, the number of items, the transaction volume, and the transaction period as features, Lightgbm. Using the Graph Neural Network as an industrial cluster classification model, the export live index which expresses the exportable capacity among companies, items, and business groups was calculated. This includes the past activity of the company from the current calculating index Objectiv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연구
Ⅲ.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
Ⅳ. 학습 결과의 활용
Ⅴ.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