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6년 6월 23일 영국의 브렉시트 투표일을 포함한 2010년 2월 3일부터 2018년 3월 1일까지의 총 관측일수 2,529일을 채택하여 영국 파운드-유로 현물환율의 초고빈도 자료인 5분간 일중자료를 사용하여 영국 파운드화의 대 유로환율 수익률을 비모수적 실현된 파워 변동성을 사용하여 불연속적 점프변동성과 점프 통계량과 점프 발생확률에 대한 추정과 실증분석을 하였다. 2010~2018년 동안 파운드화의 대 유로환율의 실현 수익률(RR) 뿐만 아니라, 실현 변동성(RV), 실현된 수익률의 Bipower 변동성(BV) 모두 비정규분포와 변동성 집중현상과 점프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영국의 브렉시트 투표일 후에 실현 변동성이 아주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영국파운드화의 대 유로환율의 실현된 수익률의 변동성은 대체로 2010년대에 조금씩 있었다. 그러나 2016년 전후 영국의 브렉시트 투표 전에도 제법 큰 점프가 있었고, 2016년에는 급격하고 아주 큰 점프가 발생하였으며 그 후로도 비교적 큰 변동성이 발생하였다. 영국 파운드화의 대 유로환율 변동성의 점프통계량 검정결과, Tripower를 사용했을 때 가장 일반적인 수준인 α = 0.999의 경우에는 총 2,529일 중에서 점프가 409번 일어나서 점프가 발생할 확률이 16.17%를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유의수준인 α = 0.999인 경우에는 Quad-power를 사용하였을 때, 총 2,529일 중에서 점프가 461번 일어나서 점프가 발생할 확률이 18.23%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2010년대 들어 파운드-유로화 환율은 비교적 점프가 많이 일어났고 브렉시트 전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환율 점프가 크게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cent realized continuous volatility and discrete jump volatility of UK Pound/Euro returns using the high frequency five minute with the nonparametric estimation. Even though most studies until 1990’s adopted the parametric approaches such as ARCH class of the modes and stochastic volatility models, the parametric approaches, however, rely on explicit functional forms which can be misspecified. In 2000’s a few studies have adopted the nonparametric approaches which were free from specific functional forms unlike the parametric approaches.
Thus. this paper uses a new nonparametric realized volatility model by summing intraday squared returns to explain the discrete jumps as well as continuous volatility so that realized volatility, bipower volatility, Tri-power Quarticity, Quad-Power Quarticity and relative jump models are introduced.
The realized rate of returns, realized variation and realized bipower variation appear the characteristics of non-normal distributions which have the volatility clustering effects. The volatility appeared appreciably large before and after year 2016 in which there was UK's national vote about Brexit. The ghost effect and cluster effect occurred also in the jumps of UK Pound/Euro returns during year 2010 through year 2018.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any large jumps appeared especially right before and right after year 2016 in which UK's national vote about Brexit occurred. And the realized variations had the considerably large and discrete jumps even after Brexit vote. The jump statistics show that the realized five minute UK Pound/Euro returns have the jump probability that there is at least one significant jump per 5-7 days in using the tripower quarticity and per 4-6 days in quadpower quarticity, respectively, during year 2010 through year 2018 at common critical levels. Thus, the discontinuous jumps of UK Pound/Euro returns occurred frequently during year 2010 through year 2018. Furthermore, UK Pound/Euro returns have occurred frequently and very largely right after year 2016. Therefore, the Brexit would influence UK Pound/Euro returns considerably large if UK actually decides the Brexit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