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착시현상을 다룬 시대적배경과 환경을 토대로 회화에서 디자인으로 범위를 넓히는 과정에서 착시를 디자인에 가장 독보적으로 접목한 후쿠다 시게오의 포스터디자인을 연구 분석해 봄으로서 매우 효율적인 이해와 설득의 수단으로서의 착시효과를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또한 후쿠다 시게오의 착시를 적용한 포스터디자인을 분석하고 추출된 자료를 논문의 연계작업으로 실질적인 디자인 유형의 분석으로 연계하여 그 분석의 결과가 향후 착시에 대한 이해와 설득이 필요한 소비자 대상의 매체를 필요로 하는 분야의 디자인에 적용되는데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가 있다 하겠다. 후쿠다 시게오의 포스터디자인에서 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동적인 착시현상을 사용하여 보는이가 그것을 느끼게 하는 시각적 연상기호이다. 후쿠다 시게오는 많은 포스터 작품에 이 원칙을 적용하였다. 그것은 새로운 요소를 변환하여 다른 모습으로 만들고, 그 생각에 따라 다음 기본 형태로서 간단하고 일반적인 그림을 선택하고 골격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의 형태는 변경되지 않지만, 요점은 기본 도형의 주요 기능을 유지하고 다시 생성 완료하여 새로운 요소로 변환, 기본적인 형태의 도움을 주는 것이다. 73억명이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지구 상황은 고도의 디지털과 AI, 첨단기술이 공존하는 다변화된 사회이다. 평면적 형태는 무한한 입체적 사고와 형태로 변환되고 있으며 거기에 따른 인간의 심리적사고도 겉으로는 압축되어지는 듯 하지만 내적요소로서는 기계적으로 복잡해지는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고 그 변화의 끝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후쿠다 시게오의 혁신적 작품세계는 다시금 재조명 되고 있다. 본 논문의 취지는 현대디자인에 있어서 후쿠다의 작품세계를 면밀히 조명하여 첨단시대와 더불어 형태적 변화를 끊임없이 제시하는 디자인에 접목시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researcher wants to re-examine the effects of optical illusions as a means of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poster design of Shigeo Fukuda, which is the most unique application of optical illusions to design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cope from painting to painting based on the context and environment of optical illusions.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pplied to design in many areas that require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poster design applied with the optical illusion of Fukuda Shigeo and linking the extracted data to analysis of actual design type by linking the paper. What you can usually feel in the poster design of Shigeo Fukuda is the visual mnemonic symbol that uses dynamic optical illusions to make the beholder feel it. Shigeo Fukuda applied this principle to many poster works. It means to transform new elements into different shapes and, according to the idea, to choose simple and general figures as the next basic form and maintain the skeleton. The shape of the picture does not change, but the point is to maintain the main function of the basic shape and to complete the re-creation to convert it to a new element, to give the basic form of help. With 7.3 billion people living on the planet, the current global situation is a diversified society where high-level digital, AI and high-tech coexist. Planar forms are being converted into infinite three-dimensional thinking and form, and the psychological thinking of humans seems to be compressed on the outside, but the internal factors are changing to mechanically complex patterns and the end of the change will be unpredictable. In this context, Fukuda Shigeo's innovative work world brings nostalgia ag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osely illuminate Fukuda's work world in modern design and to incorporate it into a design that constantly presents changes in form with the high-tech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