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주입대상 대수층의 특성을 고려한 인공함양 방법 선정 연구
Selecting Aquifer Artificial Recharge Metho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quifer
이영동 ( Yeoung-dong Lee ) , 신동민 ( Dong-min Shin ) , 김병준 ( Byeong-jun Kim ) , 김규범 ( Gyoo-bum Kim )
지질공학 29권 4호 483-494(12pages)
UCI I410-ECN-0102-2021-500-000525807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현장 조사를 통하여 지하수 인공함양의 범위를 결정하고 함양 방법별 장단점을 평가하여 적정 기법을 검토하는데 있다. 지하수 인공함양을 위한 대상 대수층 및 취수방법의 결정은 대수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신곡마을을 대상으로 전기비저항탐사, 시추조사, 투수시험, 입도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상부 충적층에 비하여 하부 풍화토 및 풍화암 구간의 수리전도도가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양수시험에 의하면 9시간 까지는 심도 12 m에서 안정적인 지하수위를 유지하였으나 이후 지하수위 강하가 재차 발생하는 이방성의 대수층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함양 우물, Ditch 및 Pond 등 3가지 유형의 인공함양 방법을 검토한 결과, 투수성이 양호한 풍화토 및 풍화암 구간까지 직접 주입이 가능한 함양 우물 방식과 상류 지역에서의 선형의 주입으로 함양효과를 높일 수 있는 Ditch 방식을 혼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함양의 대상과 방법 선정 결과는 현장의 시험 시공을 통하여 평가 될 예정이며, 이 과정을 통하여 국내 지류 중상류 지역에서의 적용성을 검증한다면 상시 물부족 지역의 용수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artificial aquifer recharge and to evaluate appropriate recharge techniques based on field investigatio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recharge method. Characteristics of the aquifer determine the target aquifer and the recharge method for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Electrical conductivity surveys, drilling, permeability tests, and grain-size analysis indicate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weathered soil and weathered rock is higher than that of upper unconsolidated soil. Pumping tests indicate that the groundwater level was stable at a depth of 12 m until 9 hours of pumping, but after that it dropped again, indicating anisotropic aquifer characteristics. Three types of artificial recharge method were reviewed, including recharge wells, ditches, and ponds, and a combination of two methods is proposed: a recharge well system directly injecting into weathered soil and rock sections with good permeability, and an injection ditch that can increase the recharge effect by line-type injection in the upstream area. The extent of groundwater recharge by the selected methods will be evaluated through on-site tests and if their applicability is verified, they will contribute to securing water in areas of water shortage.

서론
연구지역
지층 분포 특성 분석
대수층의 수리지질특성
함양 대상 지층의 선정
적정 인공함양 방법 선정
토론 및 결언
사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