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한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 데에 있다.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은 4개 대영역과 28개 소영역으로 구분하여 체계화 하였다. 3개 대영역은 ‘문식성의 기초’, ‘어휘 학습’, ‘한글 해득’, ‘의미 구성’으로 분류하였다. 소영역은 대영역을 토대로 읽기와 관련된 내용, 쓰기와 관련된 내용, 공통적으로 관련된 내용 등을 고려하여 다시 28개로 나누었다.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소영역을 중심으로 2~5개씩 개발되었다. 개발된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살펴보면, 문식성의 기초 영역 24개, 어휘 학습 영역 9개, 한글 해득 영역 34개, 의미 구성 영역 21개 등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총 88개의 활동 내용은 현장의 적용 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되었다. 이렇게 구안된 활동 내용은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 자료 개발의 구체적인 지침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ize the teaching content of the beginning literacy and to establish the activity content of the teaching program in detail.
The teaching contents of the beginning literacy were systemized by the category of 3 lagre spheres and 28 small spheres.
The small spheres are spilited to 28 parts according to contents by the connection with the reading, writing, common related contents on the ground with the large sphere.
The activity contents of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 were developed at small sphere with the number of 2~5.
The developed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s are 24 contents of begining literacy foundation sphere, 9 contents of vocabulary teaching sphere, 34 contents of Hangul apprehensibility, 21 contents of meaning construction.
All the developed 88 activity contents were updated by the process of applying to actual teaching activities. I hope these developed activity contents could be the concrete guide book of the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