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텍스트 속 문장 쓰기와 문법
Sentence Writing and Grammar
주세형 ( Joo Se-hyung )
한국초등국어교육 34권 409-443(35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524379

한 편의 글은 문장들의 산술적 총합을 넘어선다. 그러나 초등 학습자에게 글쓰기란 ‘문장 쓰기의 총합’으로 느껴지기 쉽다. 문장에 대한 교육은 작문 수업보다는 문법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적이었으나, 정작 이제까지 문법 영역에서 이루어진 ‘문장’ 교육은 글쓰기에 생산적으로 활용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쓰기 영역에서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로 하는 문장에 대한 관점과, 지금까지 문법 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통사적 지식 중심의 문장 개념은, 서로 충돌된다. 이를 극복하는 대안적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문장 쓰기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2장은 국어과 교육에서 문법 영역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면서, ‘글쓰기와 문법의 관계, 문장 쓰기와 문법의 관계’를 보는 본고의 관점을 확인한다. 3장에서는 텍스트 개념과 문장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로써 문법 영역에서 취해야 할 문장 쓰기 교육의 타당한 관점을 확립한다. 4장에서는 문장 쓰기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체계를 구체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을 일부를 재구성 함으로써, 내용 체계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 text should not regarded as the net sum of sentences. But most of learners(especially elementary graders) think of writing as the sentence-by-sentence activity. Mos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nk that a sentence be treated in the 'grammar' domain. But with the grammatically-minded-sentence concept, learners can hardly produce the text. The conflictive perspectives between writing and grammar should be solved. In this thesis, I've proposed the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In chapter 2 I've elucidated the viewpoints about the relationships of writing-grammar and sentence-grammar, in addition to the role of grammar domain. In chapter 3, I've made an argumentations about the reasonable standpoint. Finally in chapter 4, I've organized the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for sentence writing. I've also show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through the contents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textbooks.

1. 문제제기
2. 글쓰기를 위한 문법 영역의 역할 : 맥락과 텍스트의 관계 재정립
3. 문장 쓰기 교육을 위한 관점 확립
4. 문장 쓰기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체계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