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내러티브의 이해와 국어 교육적 의미
The meta-cognitive understanding of narrative and the implication of Korean education
이병승 ( Lee Byung-seung )
한국초등국어교육 34권 269-297(29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524324

이 연구는 최근 다양한 학문에서 소통되고 있는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를 를 메타적 수준에서 분류해보고, 내러티브가 가지는 국어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다양한 학문과 교육의 여러 장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내러티브는 크게 사고 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 실체로서의 내러티브, 활동으로서의 내러티브로 분류할 수 있다. 사고 양식의 내러티브는 브루너가 인간의 사고를 패러다임적 사고와 내러티브적 사고로 구분하면서 개념화한 것이다. 내러티브적 사고는 내러티브를 생산해 내는 사고로서, 이야기의 특성에서 발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체로서의 내러티브는 내러티브적 사고의 결과로 나타난 서사체를 뜻한다. 서사체를 중심으로 관련된 요소들의 관계를 연구하는 다양한 관점의 내러티브 연구는 최근에는 내러티브 매체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활동으로서의 내러티브는 내러티브를 이해하고, 창조하는 활동과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문화의 다양성 시대에 내러티브의 사용역이 넓어지고 있는 지금에 국어 교육에서도 내러티브를 새롭게 조명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and analyse issues of narrative that is discoursed on various domain. The narrative is studied by narrative mode of thought, product and activity.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was discoursed by Bruner. He differentiate two mode of thought of people;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derived from character of story means making narrative product. Narrative as product was studied in literature. Recently inquiry of narrative were broaden because of media. Narrative as activity are thought with two mode; understanding and create narrative, education through narrative. We can make use the narrative as new method, goal and content in Korean education. In oder to enhance the narrative competence with student,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adapt the narrative in the phase of various education.

1. 내러티브 개념과 분류의 틀
2. 사고 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
3. 실체로서의 내러티브
4. 활동으로서의 내러티브
5. 내러티브의 국어 교육적 의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