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대학병원 중환자실의 신규 간호사가 자신이 담당한 환자의 임종을 경험하고 어떤 심리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경험했는지, 그리고 그 심리적 고통과 스트레스는 명상에 기반한 에니어그램 상담을 통해 어떻게 변화했고 그 치유과정은 어떠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단일사례 연구로 AB 설계로 진행하였다. 상담은 명상에 기반한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8단계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AB 설계는 개입을 하기 전 기저선(A)단계와 8단계 명상심리상담의 개입 단계(B)로 하여 그 변화와 효과를 증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는 어린 시절 할아버지의 임종을 지켜보며 자신이 아무것도 할 수 없었음에 대한 죄책감을 간호사가 된 후에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가 자신이 돌보던 환자가 사망 하자 불안과 두려움의 극심한 심리적 고통과 스트레스 때문에 더 이상 간호사 일을 하지 못할 정도가 되어 간호사 일을 그만두려 했으나 상담과 명상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그 감정을 직면하고 지켜보면서 죽음에 대한 이해와 간호사로서의 자신의 소명을 발견하고 정립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신이 담당한 환자의 죽음을 처음 경험한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에 대한 연구에 있어 명상에 기반한 에니어그램 상담을 통한 질적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자신이 돌보던 환자가 사망했을 때 어떤 심리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받는지 알아볼 수 있었으며 8단계 명상상담을 통해 그 치유 과정을 심층적으로 깊이 있게 알아보았다는데 있다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a new nurs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ho has experienced dying and to find out how the psychological distress changes by enneagram counseling based on meditation. Methods: This study took the single case method, and chose meditation counseling which is based on enneagram meditation. Results: The psychological pain of a study participant, a new nurs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ho witnessed death, was the fear of death and guilt of not taking proper care of her patient, and the result of a meditation-based consultation to recognize her feelings, to understand them while facing and watching them, and to establish her calling as a nurse. Conclusion: The psychological pain of a new intensive care unit nurse who experienced death was guilt and is suffering from stress. And the psychological pain was eliminated by meditation-based enneagram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