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88.96.76
18.188.96.76
close menu
}
단일 언어 사회를 향해
Toward a Monolingual Society
서석배 ( Suh Serk-bae )
한국문학연구 29권 185-219(35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546783

이 논문은 한국의 지식인들이 독립을 이룬 한국에서 국어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지녔던 관점들을 분석하였다. 정치적인 입장의 광범위한 차이들에도 불구하고, 한국 지식인들의 스펙트럼은 전반적으로 동질적인 민족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라도, 일본어의 사용을 억압하고 한국어를 엄밀하게 표준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동의를 표하였다. 나는 이 논문에서 식민지 기간 동안에 일본어를 배우도록 강요당하다가 결국 독립 이후에는 오직 한국어를 사용하도록 다시 한번 강요를 당해야 했던, 한국인 세대의 정신적 외상으로 이어지는 경험에 대해서 특히 더욱 관심을 기울였다.

This paper analyzes Korean intellectuals’ views on the issue of national language in a liberated Korea. Despite vast political differences, the whole spectrum of Korean intellectuals agreed that it was necessary to standardize Korean rigidly while suppressing the use of Japanese in order to build a homogeneous national culture. I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traumatic experience of the generation of Koreans who were forced to learn Japanese during the colonial period only to be coerced again intoexclusively using Korean after the liberation.

1. 들어가며
2. 식민지 조선에서의 언어 사용 상태
3. 민족문학과 국어
4. 사라지는 언어에 대한 哀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