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하브루타 러닝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N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전공 교과목인 ‘장애유아 행동관리 및 행동수정’ 강의를 수강하는 2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 검사점수를 하브루타 러닝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변화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브루타 러닝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하브루타 러닝을 통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주제를 비판적 사고로 토론함으로써 특수교육 현장에서 협력적으로 문제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예비유아특수교사 교육에서 하브루타 러닝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on pre-service infant special teacher’s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havruta learning was conducted on 13 second-grade students taking the cours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nd Behavioral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of the pre-child special teachers, the change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conducting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st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increased meaningful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havruta learn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collaboratively solve problem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by discussing topic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through critical thinking. Moreover, it shows the necessity of havruta learning in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rain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