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18세기 영국 극음악 장르의 발달과 특징 - 영국 오라토리오와 발라드 오페라 등장을 중심으로
오지희
음악사연구 8권 2-27(26pages)
UCI I410-ECN-0102-2021-600-000548594

18세기 영국 음악사는 17세기 퍼셀 이후 19세기 영국음악의 르네상스가 등장하기 전까지 어둠의 시대로 불린다. 그러나 이 시기는 영국 극음악의 다양한 장르가 발전하던 때이며 이러한 극음악이 활성화될 수 있는 음악문화도 적극적으로 조성돼 있었다. 18세기 초·중반 영국은 이탈리아에서 건너온 오페라, 영국 오라토리오, 발라드 오페라 이 세 장르가 혼재해 있었다. 시기별로 유행하던 장르는 달랐지만, 중요한 것은 이 시대가 영국 극음악의 최전성기였다는 데 있다. 그것은 18세기 영국이 헨델과 같은 뛰어난 작곡가를 배출하지 못한 어둠의 시대가 아닌, 종합예술인 극음악을 활발히 누릴 수 있었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음악활동 시기임을 뜻한다. 또한 18세기 영국에서는 숭고미 이론이 발달했다. 헨델의 오라토리오로 대표되는 영국 오라토리오에는 장엄함과 숭고함이 깃들어있었다. 헨델은 오페라를 만들면서 오라토리오도 작곡했다. 단지 시기별로 오페라에서 오라토리오로 중심이 이동했을 뿐이다. 한편 이탈리아 오페라가 한창 상연되던 시기에 영국적인 발라드오페라도 등장했다. 발라드 오페라에는 당시 유행하던 모든 다양한 노래가 들어있었으며 기존 영국 궁정 마스크가 갖고 있던 대사의 중요성과 연결된다. 영국식 오라토리오와 영국식 발라드 오페라의 성공은 이탈리아 레치타티보가 결코 영국식 가사를 이길 수 없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English Music in the 18th century is so called ‘A Dark Age’, which means England from the 17th century after Purcell to the English Renaissance in the 19th century did not have creative composers like German musicians. However, this was the period that various type of English theater music had been developed. Moreover the people in England were eagerly fond of cultivating musical life. English music especially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saw Italian opera and English oratorio by Handel, and the ballade opera by Gay. Those three genres were enjoyed in the same time. But I emphasize on the fact that this time was the highlight of that kind of theater music. This period was not a Dark Age but a positive, energetic age concerning on their theater music. England in the 18th centur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ublimity theory. English Oratorio by Handel had some solemnity and sublimity in it. Handel produced Italian opera and English oratorio around the same age. He simply shifted the pivot on his greatest interests. Meanwhile, A ballade opera by Gay appeared while Italian opera had been in fashion. The ballade opera had quite diverse songs. And the dialogue was linked to the English Masques. After all, the success of the English oratorio and the English ballade opera showed that Italian opera recitativo could not survive in England.

I. 들어가는 글
II. 18세기 영국 음악문화의 단상
III. 영국 오라토리오의 등장 배경
IV. 영국 전통 가면극 마스크의 특징
V. 발라드 오페라의 특징과 선율과 가사의 독창성
VI. 나가는 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