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4.54
3.144.4.54
close menu
KCI 우수
남북 강원지역의 방언구획
Dialect Divisions in North and South Gangwon
김옥영 ( Kim Ok-young )
국어학회 2019.12
국어학(國語學) 92권 203-239(37pages)
DOI 10.15811/jkl.2019..92.007
UCI I410-ECN-0102-2021-700-000607648

한국전쟁(1950-1953) 이후 현재까지 한반도는 정치적 분단 상태에 있으며 이는 곧 강원도 분단의 역사이기도 하다. 그런데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 이은 북미정상회담의 성사 등 남북화합의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맞아, 이 글에서는 남북 강원도 전체의 방언구획을 시도하였다. 부족한 자료나마 모으고 정리하여 분단의 역사를 마무리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수집 가능한 자료를 분류하여 방언 경계를 조사한 결과, 남북 강원지역의 방언구획에 영향을 미치는 등어선속은 4개의 남북형과 5개의 동서형이다. 그리고 이들 등어선속에 의해 남북 강원지역은 총 8개의 방언권으로 구획된다. 각 방언권의 중심 지역을 기준으로 명명하면 북강원의 ‘원산방언권, 이천방언권, 통천방언권’, 남강원의 ‘춘천방언권, 고성방언권, 강릉방언권, 정선방언권, 삼척방언권’이다.

The Korean War, which lasted from 1950 to 1953, led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also a division of Gangwon. Korea has remained divided since then, but now it is moving toward peace and reconciliation, as evidenced by the success of the inter-Korean summits and the subsequent North Korea- United States summit in 2018.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is paper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classify North and South Gangwon dialects. Although there are not enough data,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cultura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m. Dialect boundarie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collectable data, resulting in four types of north-south isoglosses and five types of east-west isoglosses that affected the dialect divisions of North and South Gangwon region. These bundles of isoglosses divide North and South Gangwon into eight dialect areas. Each dialect area can be named as follows based on its central region: Wonsan, Icheon, and Tongcheon dialect area in North Gangwon, and Chuncheon, Goseong, Gangneung, Jeongseon, and Samcheok dialect area in South Gangwon.

1. 머리말
2.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
3. 남북 강원지역의 방언구획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