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유아 학습자가 학습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몰입하여 보호자나 부모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AR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AR 학습 콘텐츠 개발은 서비스 디자인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발견, 정의, 개발, 전달)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발견 단계에서는 학습자 관찰, 학부모 인터뷰, 씨앗 아이디어 도출이 이루어졌으며, 정의 단계에서는 씨앗 아이디어 분석, 이해관계자 지도, 페르소나, 사용자 여정 지도를 통하여 문제를 정의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문제 정의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평가 및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교육학·교육공학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용성 평가는 어린이 19명과 이들의 부모 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개발물을 수정하고 서비스 청사진을 작성하였다. 전달 단계에서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AR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인 학습자와 학부모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 전문가, 개발자 등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상호작용을 설계하고 조직함으로써 AR 학습 콘텐츠 개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가 AR 학습 콘텐츠 개발에 있어 학습자 및 이해관계자 경험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데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self-directed and interesting AR 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at preschool learners can utilize on their own without the help of parents. The development of AR learning content was accomplished based on four stages of the double diamond model, the most commonly used in service design. In the Discover phase, learner observation, interview with parents, and deriving of seed ideas were conducted. In the Define phase, problems were defined based on seed idea analysis, stakeholder map, persona, and customer journey map. During the Develop phase, we developed a prototype and conducted an expert assess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10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conducted the assessment,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implemented on 19 children and their par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 AR learning content was revised and the service blueprint was developed. During the Deliver phase, we designed a business model canvas to confirm the viability of the content in the education fiel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xplore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R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by designing and organizing every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parents who are actual users of AR learning content, as well as experts and developers in related field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the foundation for analyzing and designing experiences of learners and stakeholders in developing AR learning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