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서정주와 발레리, 혹은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이라는 문제 : 서정주의 시론과 산문을 중심으로
Seo Jeongju & Valery, or Ideas of ‘the Orient’ and ‘the West’ : with a Focus on Essays on Poetry and Prose
고봉준 ( Ko Bong-jun )
한국문학연구 57권 73-103(31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615190

한국 시사(詩史)에서 미당 서정주는 ‘전통’과 ‘동양’을 상징하는 존재로 평가된다. 일본의 식민지배와 함께 시작된 한국의 근대화는 전통과의 강력한 단절과 ‘서양적인 것’의 모방·수입이라는 이중적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문학’이라는 개념 자체가 전통과의 불연속, 즉 리터러처(literature)의 번역어라는 사정을 감안한다면,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근대문학자들이 ‘서양적인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다. 그런 면에서 한국의 근대문학사는 ‘서양적인 것’을 경유하면서도 그 ‘서구-근대’가 형성한 세계에 대한 비판을 함축하는 모순적인 성격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서정주의 경우는 달랐다. 그는 일찍부터 ‘서양적인 것’과 ‘토속적인 것’의 융합을 통해 농경사회의 삶을 형상화했고, 해방 이후부터는 전통, 동양, 신라, 불교 등의 정신사를 내세워 ‘서양적인 것’을 추종하는 문화적 흐름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하지만 한국문학사에서 관례적으로 사용되어온 이 개념들은 ‘서양적인 것’과의 대척점을 형성하고자 할 때 느슨하게 사용될 뿐 엄밀하게 규정된 적이 드물다. 이러한 이유로 ‘서양적인 것’의 정체 또한 늘 불투명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것은 ‘서양적인 것’ 또한 ‘동양적인 것’의 대척점으로서만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시론과 산문에서 ‘동양’과 ‘서양’이 어떻게 의미화되고 구별되고 있는지를 살폈다.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시 장르에 대한 서정주의 사고는 폴 발레리의 시각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실제로 시의 장르적 특성을 설명할 때마다 서정주는 반복적으로 발레리의 주장을 인용한다. 하지만 시에 대한, 언어에 대한 발레리의 사유는 지극히 ‘서양적인 것’이다. 예술에 대한 발레리의 사유는 그리스의 ‘미학’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정주에게 발레리는 ‘서양적인 것’이 아니라 보편적 인식의 소유자처럼 이해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밀고 나가 ‘시’에 관한 서정주의 사유가 정말 동양적인 것에 기초한 것인지, 그렇게 이야기할 때의 ‘동양’과 ‘서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Midang Seo Jeongju is regarded as a poet who represents notion of ‘tradition’ and ‘the Orient.’ Modern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started with Japanese colonization, and it underwent a dual process of a severe cut from the old tradition and the import and replication of the ‘Western ideas and things.’ Considering that munhak―literature in Korean―is a translation of literature, or discontinuation from tradition, it was inevitable that modern literary figures reacted keenly to Western ideas and things. In this sense, Korean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had a contradictory nature as it accommodated ‘Western ideas and things,’ and at the same time implied criticism over the society formed by 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However, Seo Jeongju was different. From early on, he portrayed images of life in farming villages by fusing ‘Western ideas and things’ with vernacular ideas and things; after liberation of the country, he strongly resisted a literary trend that pursued ‘Western ideas and things’ by emphasizing intangible, philosophical aspects of tradition, the Orient, Shilla Dynasty, and Buddhism. However, these concepts, which have been customarily used in Korea's literary history,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instead used loosely as antipodes to ‘Western ideas and things.’ For this reason, in context of writing, identity of ‘Western ideas and things’ always remained obscure, as they also are merely antipodes to ‘Oriental ideas and things.’ Noting this, we investigated how ‘the Orient’ and ‘the West’ are understood and set apart by examining Seo Jeongju's essays on poetry and prose. His ideas on the genre of poetry heavily relied on those of Paul Valery, although research on this topic has yet to be undertaken. Indeed Seo Jeongju repeatedly quoted arguments of Valery whenever he tried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poetry. However, Valery's thoughts on poetry and language are definitively western. Nevertheless, Seo Jeongju saw Valery as possessing universal perception of ‘poetry’, not necessary ‘Western ideas and things.’ In this paper, we pursued this idea, and attempted to elucidate whether Seo Jeongju's thoughts on poetry are indeed founded on Oriental ideas and things, and what ‘the Orient’ and ‘the West’ means in such discourses.

1. 들어가며
2. ‘발레리’라는 문제
3. 시에 있어서 ‘감동’과 ‘정신’의 의미
4. 서정주의 ‘서양’과 발레리의 ‘서양’
5.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