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한국 전통 다식의 유래와 문양 고찰
A Study on Tea Cake Tea Processing Method of Dasan Jeong Yak-yong
박춘연 ( Chun-yeon Park )
한국예다학 8권 99-123(25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0625563

문양(紋樣)은 언어가 없던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한 표현의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한국의 전통문양은 원시사회의 자연숭배 사상에 의한 암각화가 그려지기 시작한 선사시대부터 조선왕조 시대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 동안 전해져 내려왔다. 이러한 전통문양은 차가 있는 자리에 함께하는 다식(茶食)에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식의 문양 연구를 위해 다식 문양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변천되어왔으며, 그리고 다식 문양이 갖고 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식의 문양에는 식물문양, 동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 등이 있다. 식물문양에는 국화·매화·이화·난초·모란·소나무·대나무·포도·당초 등이 있으며, 부귀·길상·장수의 의미를 지닌다. 동물문양의 나비와 박쥐는 복·다남·다산 등을 의미하며, 길조의 상징이다. 문자문양에는 부(富)· 귀(貴)·다(多)·남(男)·수(壽)·복(福)·강(康)·녕(寧)등이 있으며, 길상(吉祥)과 오복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기하학문양은 만자문(卍字文), 아자문(亞字文), 뇌문(雷文), 회문(回文)등으로 길상을 뜻하며 하늘을 상징하는 의미로 표현되었다. 조상들은 이러한 문양을 통해 그들의 희구(希求)를 표현하였으며 다식판에도 다양한 문양을 새겨 의미부여를 하였다. 다식은 차와 더불어 단순히 먹을거리만이 아닌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삶이 숨 쉬는 전통문화이다. 전통 다식 문양의 종류와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문양개발과 활용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Patterns have been used as a means of expression to communicate in the absence of languag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have been handed down for thousands of years, from prehistoric times, when rock paintings began based on ideas related to the worship of nature in primitive societies, to those of the Joseon Dynasty. These traditional patterns can also be seen in the dasik, tea confectionery, where tea is drunk.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in detail how the dasik pattern has been historically transformed and what kind of meanings the dasik pattern has. The patterns of dasik include plant, animal, letter, and geometric patterns. Plant patterns include chrysanthemum, apricot flower, plum flower, orchid, peony, pine tree, bamboo, grape, arabesque, etc. and have meanings of wealth, lucky omen, and longevity. A butterfly and a bat in animal patterns are the symbols of auspiciousness, including blessings, many sons, and fecundity. Letter patterns such as wealth (富), nobility (貴), abundance (多), man (男), long-lived (壽), blessings (福), health (康) and comfort (寧), symbolize lucky omens and five blessings. Geometrical patterns include the Swastika pattern (卍), 亞 pattern, lightning pattern, and circular pattern, which represent the sky symbolizing auspiciousness. Those patterns were used to express the hopes and wishes of our ancestors. They also conveyed meanings by inscribing various patterns on the dasik plates. The dasik is not only food, but also a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the wisdom and life of our ancestors were alive along with the tea. By investigating types and meanings of the traditional dasik patterns, this paper sought new way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atterns.

Ⅰ. 머리말
Ⅱ. 다식의 기원 및 변천 과정
Ⅲ. 다식 문양의 종류와 의미
Ⅵ.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