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체육교육에 있어서 운동학습을 지탱하는 중요한 물적 조건인 학교운동장의 성립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교지(校地) 면적의 거의 ½를 차지하고 평탄하고 장애물이 없으며 장방형(長方形)의 학교운동장은 일제 식민지시대에 정비되었는데, 보급과정에서 운동장의 명칭은 「채조장」(體操場) →「옥외 운동장」(屋外 運動場) →「옥외 체육장」(屋外 體育場)으로 변천해 갔으며, 이러한 운동장 명칭의 변천은 학교체육의 목표 및 지도내용과 관련해서 변화하였다.
일제 식민지시대에 처음 제시되었던 학교운동장의 지표(地表), 형상(形狀)에 관한 규정은 광복 후에도 그대로 답습되었으나, 면적(面積)에 있어서는 아동 수를 기준으로 한 규정에서 학급 수를 기준으로 한 규정으로 바뀌었다.
한편 일제 식민지시대 학교운동장 기준면적은 초등학교의 경우 아동 1인당 3㎡, 중학교의 경우는 학생 1인당 4㎡ 이상을 표준으로 제시하고 있었는데, 운동장 설치는 법적인 의무사항이 아니라 권장사항 이었기에 당시 모든 학교에서 설치기준에 따른 운동장을 확보하고 있었던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광복 후 학교운동장 설치에 관한 법적 규정(「學校施設·設備基準令」)이 제정됨으로써 고유하고 필수시설로서의 운동장 설치가 법률적인 구속력을 갖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법적 기준치에 미달하고 있으며 체육관, 수영장 등은 권장시설에 속함으로써 실제의 확보율은 저조한 실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oint out some primary factors of these conditions which exerted influence on fixing the type of the playground of elementary schools. The materials, chiefly used for this paper, consisted of the Manuals of School Building Plan which wer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1913) and the Standard for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in 1927.
In the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 of modern school system (1894) to the revision of the standard for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1910∼1945), the playground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had been well equipped. During this period, the following four conditions were the requisites of establishing a playground: a) The surface of a playground should be flat without any obstacles, b) a playground should be established in parallel with a school building, c) the space of a playground obtained by locating a school building in the corner of school area to assign the rest of the space for the playground should occupy more than a half of the school area, and d) the form of a playground should be squ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