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인 스키 종목 중 직활강하는 속도 경기(speed skiing)는 종단 속도의 크기로 우열을 가리는 경기로서 이 경기의 기록은 골인선 100m이전부터 골인 선까지의 평균 속도로 결정한다. 이러한 경기력을 결정하는 역학적 요인으로 유체의 저항력과 부양력, 스키와 눈 사이의 마찰력, 경사면의 기하학적 모양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이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키 동작에 관한 Newton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역학적 모형을 만들었다. 이 모형에 의한 계산치와 실제 경기 기록을 비교한 결과 코스의 환경 조건 등의 매개변수를 기초로 예측한 출구 속도가 실제 기록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모형에 의하면 경사면의 기학학적 모양이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직선의 경사면에서 스키 선수의 속도는 꾸준히 증가하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다가 점차 종단 속도에 도달한 반면에 경사각이 점차 감소하는 곡선 코스에서는 속도가 어느 정도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였다. 이 경우 코스의 경사도가 감소하는 정도에 따라 최고 속도에 도달하는 시간과 위치가 달라서 기록 측정 구간을 정하는데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선수들의 체중과 활강 자세를 고려한 신체 조건과 경기력과의 관계는 체격이 큰 선수가 작은 선수보다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어 큰 선수가 공기역학적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근력과 능력에 있어서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모형에 사용되는 여러 매개변수의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공기저항력이 경기력을 좌우는 가장 큰 요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hill profile and aerodynamic conditions are among the importance factors that decide performance in speed skiing. The equations of motion that describe a skier descending a speed skiing hill were solved numerically. The model is shown to agree well the actual official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model's results but only when the hill profile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this model hill profile has been shown to be a critical factor affecting skier speed. Characterization of speed-skiing hill by drop height and competition length is not enough to determine the course speed. Also it can be conclude that bigger skiers have an advantage over smaller skiers provided that the former retain the strength and agility to maintain the tight aerodynamic form so crucial to drag reduction. The sensitivity of the exit speed to each of these model parameters helps one gain insight into model behavior and also determines,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which parameters might affect a potential gain in speed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