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6.142.94
18.216.142.94
close menu
KCI 등재
고대국어 종결어미 연구의 현황과 과제
The comprehension and summary of research about final endings in Ancient Korean
최성규 ( Choi Seong-gyu )
구결학회 2019.08
구결연구 43권 5-53(49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120195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고대국어 종결어미 연구를 두루 모아 살펴보고, 앞으로 탐구할 것들을 찾아보았다. 이 글에서 다루는 ‘고대국어’의 범위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를 포함한다. 이 글에서는 되도록 한 형태를 한 기능으로 설명하는 것을 추구하였고, 독특한 개인 의견보다는 통설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학교 문법에서는 문장종결법 체계를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으로 나눈다. 이 글에서도 대체로는 이를 따른다. 다만 청유형의 경우는 통설과 조금 달리 처리하여 ‘기원/원망(願望)’이라는 이름으로 다루었다. 이 글에서 정리한 종결어미(일부는 조사 또는 어미구조체)의 목록 중에서 중요한 것만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삼국ㆍ남북국시대의 경우 평서형으로는 ‘之, 如, 多(다)’ 등이 쓰였고, 의문형으로는 ‘古, 故(고)’, ‘丁(뎌)’ 등이 쓰였다. 명령형으로는 ‘立(셔)’, 기원/원망형으로는 ‘哉, 齊(져)’, 감탄형으로는 ‘羅(라)’, ‘叱等邪(ㅅ□야)’ 등이 쓰였다. 고려시대의 경우 평서형으로는 ‘多, 如, □ (다)’ 등이 쓰였고, 의문형으로는 ‘□/□ (고/오)’, ‘□ (아)’ 등이 쓰였다. 명령형으로는 ‘囉, 良(라)’, ‘立, □ (셔)’, ‘受勢, 少時(쇼셔)’ 등이 쓰였고, 기원/원망형으로는 ‘齊, 制, □ (져)’, ‘良結(아져)’가 쓰였으며 감탄형으로는 ‘也, 耶(야)’, ‘叱等耶(ㅅ□야)’, ‘□□/□ □ (ㄴ뎌)’, ‘□□ (ㅭ뎌)’ 등이 쓰였다.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about the final endings in Ancient Korean and sought subjects to study. The period of Ancient Korean includes periods from three kingdoms (1st century BC) to the Goryeo dynasty (14th century AD). We also pursued to arrange one morpheme with one function as far as possible, and we attached more importance to a common view than to unique opinions. In school grammar, sentence final endings are classified into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propositive and exclamative endings. We observed this classification mostly. However propositive endings are treated differently, in the name of optative or desiderative endings. The brief list of endings is as follows. In the period from three kingdoms to the south-north states (10th century AD), ‘之, 如, 多(다 da)’ were used as declarative endings, ‘古, 故(고go)’ and ‘丁(뎌dje)’ were used as interrogative endings, ‘立(셔sje)’ were used as imperative endings, ‘哉, 齊(져dzje)’ were used as optative/desiderative endings, and ‘羅(라ra)’ and ‘叱等邪(ㅅᆮᆞ야sd□ja)’ were used as exclamative endings. In th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10th-14th century AD), ‘多, 如, □ (다da)’ were used as declarative endings, ‘□/□ (고go/오o)’ and ‘□ (아a)’ were used as interrogative endings, ‘囉, 良(라ra)’, ‘立(셔sje)’ and ‘受勢, 少時(쇼셔sjosje)’ were used as imperative endings, ‘齊, 制, □ (져dzje)’ and ‘良結(아져adzje)’ were used as optative/desiderative endings, and ‘也, 耶(야ja)’, ‘叱等耶(ㅅᆮᆞ야sd□ja)’, ‘‘□□/□ □ (ㄴ뎌 ndje)’, ‘□□ (ㅭ뎌□dje)’ were used as exclamative endings.

1. 머리말
2. 삼국ㆍ남북국 시대
3. 고려시대
4. 맺음말
參考文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